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과연행복할수있을까요
과연행복할수있을까요

2025년 7월 수출이 오히려 늘었다는데, 이게 지속 가능할까요?

최근 보고서 보니까 7월 수출이 꽤 많이 늘었다고 하던데, 이게 단기적 특수인지 그냥 장기 추세로 봐도 되는 건지 모르겠어요. 특히 우리 주력 품목들은 앞으로 어떻게 될지 걱정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현재로서는 미리 미국에 추가관세 부과 전에 수출한 물량이 많다고 보시면 됩니다. 상호관세의 경우 이제 15%로 확정되었으나 기존에는 10%였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10%를 적용받기 위하여 일단 물품에 대하여 최대선적 및 미국 통관을 진행하였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이러한 재고가 확보되어 있고 관세가 추가로 부과되었기에 이러한 수출은 유지되기 어려울 간으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는 제1의 수출품목인 반도체 등의 선방으로 7월 수출의 선방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미국의 관세나 환율변동 등의 대외 리스크가 있어 지속적으로 수출이 좋은 수준을 유지할지에 대해서는 부정적 시각이 많습니다.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kita.net/board/totalTradeNews/totalTradeNewsDetail.do?no=93878&siteId=1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7월 수출 증가에는 반도체와 자동차 중심의 회복세가 크게 작용했습니다. 반도체 가격이 바닥을 찍고 회복하는 흐름이 이어졌고 전기차와 친환경차 수출도 꾸준히 늘었습니다. 다만 이런 흐름이 연말까지 이어질지는 불확실합니다. 글로벌 금리와 경기 둔화 우려가 여전히 남아 있고 주요 수출국의 수요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중국 경기 회복 속도가 예상보다 느린 점도 부담 요인입니다. 특히 반도체는 업황 반등이 초기 단계라 수요 회복이 지연되면 성장세가 꺾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원자재 가격과 환율 방향 역시 향후 수출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