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

이율곡의 십만양병설이 무시된 이유?

임진왜란이 발생하기전부터 이율곡선생은 우리나라에 십만양병설을 주장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십만양병설이 무시된이유가 뭐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율곡 이이의 십만양병설이 무시된 이유로는 당시 조선 사회가 오랜 평화로 인해 병역 제도가 해이해졌고, 군사 훈련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점이 지적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이의 십만양병설에 대해 주장의 존재 여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습니다. 즉 서인들이 이이를 높이기 위해 과장된 주장이라는 것입니다.

    이이가 병조판서 시기 1538년 올린 시무 육조에서 양병을 이야기 한 적은 있지만 구체으로 10만이라는 언급에 대해서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10만 양병설의 주장이 있었다 하더라도 당시 재정적 이유, 백성들의 부담 증가로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또한 서인을 대표하는 이이 세력보다 동인의 입지가 강하여 정책에 반영되지 못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십만양병설을 무시한 이유가 궁금하군요.

    무시했다기보다는 사신으로 보낸 두 사람의 의견이 달라서 준비가 미흡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는 이렇게 말하면서 국가는 항상 전쟁 준비를 갖춰 두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마침 북쪽에서 여진족과 크고 작은 전투가 있던 터이라, 이이의 주장은 제법 진지하게 검토되었습니다. 이이는 10만 군사를 길러 외적의 침략에 대비하자며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기도 하였습니다. 얼마 뒤 일본에서 심상치 않은 소식이 전하였습니다. 120여 년간 분열되어 있던 일본이 통일되었고, 머지않아 조선을 침략할지도 모른다는 것이었습니다.

    조정에서는 일본에 사신을 보내 이를 조사하도록 하였습니다. 그러나 두 사신의 의견이 달라 조정은 당황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황윤길은 일본의 침략 가능성이 높으니 서둘러 전쟁에 대비할 것을 주장하였으나, 김성일은 침략 가능성이 높지 않다며 이에 반대하였습니다. 토론은 큰 성과 없이 끝났고, 조정에서는 급한 대로 몇 가지만 준비한 채 한 해를 보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