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생각하며돌아가는무언가
생각하며돌아가는무언가

고래는 왜 물속에서 살면서도 포유류로 분류되나요?

바다에서 가장 큰 고래는 물고기처럼 물속에서 살지만 포유류로 분류되죠. 고래가 포유류로 분류되는 생물학적 특징과 이유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고래는 체내에서 살아 있는 새끼를 출산하고 모유로 새끼를 양육하는 포유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고래가 포유류에 속하는 결정적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 또, 고래는 호메오더믹(Homeothermic) 특성을 지니고 있어, 체내에서 활성 대사를 통해 일정한 체온을 유지합니다. 고래는 폐 호흡을 하며, 공기 중의 산소를 사용하여 호흡합니다. 이는 물고기와 같이 아가미를 통한 호흡과는 구분됩니다.
    또한, 고래는 진화 과정에서 초기 육상 포유류에서 기원하였으며, 이러한 조상의 특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고래의 해골 구조, 특히 중이의 뼈 구조는 다른 포유류와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합니다. 이와 같은 유전적, 생리적 특성은 고래가 포유류 분류에 속하는 명확한 근거를 제공합니다.

  • 고래는 폐로 호흡하고, 새끼를 낳아 젖을 먹여 키우며,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포유류로 분류됩니다. 이 외에도 털이 흔적 형태로 존재하고, 물속 생활에 적응했지만 조상은 육상 포유류에서 진화한 점도 포유류의 특징으로 확인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고래는 다른 수생동물들과는 다르게 육지에서 살던포유류가 바닷속을 오가면서적응하며 진화해왔습니다.

    원래 팔다리가 지느러미형태로 변하고 폐호흡을 위해 수면위로 올라오며

    새끼를낳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래서 물에사는 포유류에 더 적합한동물이기에 포유류로 분류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고래는 육지에서 살던 포유류가 바다로 들어가면서 적응하게된 생물이기때문입니다.

    포유류의 특징을 그대로 가진채 바다에적응했기때문에 폐호흡을 하기도합니다.

  • 고래는 포유류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가장 먼저 포유류의 가장 큰 특징은 새끼를 낳고 젖샘이 있어 젖으로 수유를 하는 것인데, 고래도 이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고래는 폐가 있어서 물 밖으로 나와 산소로 호흡을 하며, 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항온동물입니다. 이는 포유류의 가장 특징 중 하나입니다.

    게다가 고래의 꼬리는 수평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다리의 진화형태로 포유류와 어류를 구분하는 중요한 특징이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고래는 약 5천만 년 전 시신세에서 시작되는 네 발 달린 육상 포유류가 바다로 돌아가며 진화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죠.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고래는 물속에서 살지만, 포유류로 분류되는 이유는 몇 가지 생물학적 특징에 기반합니다. 첫째, 고래는 따뜻한 혈액을 유지하는 온혈동물로, 이는 포유류의 중요한 특징입니다. 둘째, 고래는 태생으로 새끼를 낳고, 젖을 먹여 새끼를 기르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고래는 폐로 호흡하며 수면을 올 때마다 숨을 쉬어야 합니다. 물고기는 아가미를 통해 호흡하며, 물속에서 산소를 직접 흡수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고래는 물속에서 살지만 포유류로 분류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