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하늘은 파랗게 보일까요? 궁금해요
왜 하늘은 파랗게 보일까?
하늘의 색깔이 파란 이유는 무엇인가요? 대기 중의 빛 산란 현상과 관련이 있다는데, 그 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파란색 외에 다른 색깔이 보이는 경우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말씀대로 태양빛은 여러가지 빛들이 합쳐져있는데, 파란색이 대기에서 산란을 가장 잘 해서 파랗게 보입니다.
아침이나 저녁에 하늘이 붉게 보이는 것은 태양이 대기를 지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먼저 산란하는 파란색은 흩어지고, 붉은색만 남아서 붉게 보일 수 있다고 하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하늘의 색이 보이는 것은 대기중에서 빛이 산란되는 현상때문이며 이는 레일리 산란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태양빛은 백색광으로서 여러가지 색의 빛이 섞여 있는데 이중 우리가 볼수 있는 영역을 가시광선이라고 하지요. 파장의 길이에 따라 다른 색ㅇ로 나뉘게 되는데 가시광선 중에서 파장이 짧은 색은 보라색과 파란색, 긴색은 빨간색과 주황색입니다. (자외선과 적외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구의 대기에는 질소와 산소 같은 분자들이 존재하며 이 분자들은 태양빛을 산란시키는 역할을하게 되는데 대기중의 분자가 태양빛을 산란시킬때 파장이 짧은 빛이 더 많이 산란되는 현상을 의미하지요~ 태양에서 나오는빛이 지구의 대기권에 도달하게 되면 공기중의 분자에 의해 산란되는데 파장이 짧은 빛을 더 강하게 산란시켜 사람의 눈이 보라색보다 파란색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파란색으로 보이게 되는것입니다. 일출이나 일몰시에는 태양빛이 대기를 통과하는 경로가 길어지게 되어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이 대기를 많이 통과하는 동안 거의 다 산란되고 파장이 긴 빨간색과 주황색 빛만이 남아 우리에게 도달하여 붉으스름하게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