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산업구조의 다변화를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현재 우리나라 산업은 수출과 수입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생산성과 세계적 경쟁력을 위해서는 산업구조의 다변화가 꼭 필요할 터인데 그 산업구조의 다변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산업구조 다변화를 위해 다음 방법이 효과적입니다.
첫째,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업(금융, IT, 콘텐츠)과 바이오와 그린 에너지 등 신흥 산업 육성으로 포트폴리오 확대하는 것입니다.
둘째, R&D 투자 강화와 부품·소재 국산화로 공급망 안정화하는 것입니다.
셋째, 수입 다변화(중국 의존 탈피, 아프리카 등 신흥시장 개척)하는 것입니다.
넷째, 중소기업 지원과 인력 재교육으로 생산성 제고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수출입 의존 탈피와 경쟁력 강화 가능하다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산업구조의 다변화를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바로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정책을 펼치고
R&D에 예산을 넣어서 새로운
신시장 개척을 해야 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산업구조의 핵심 문제는 반도체,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등 특정 제조업에 대한 과도한 집중입니다. 반도체가 전체 수출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상위 10대 기업이 GDP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구조는 글로벌 경기 변동이나 특정 산업의 위기 시 경제 전체가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는 취약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즉 가장 우선되어야 할 것은 첨단 제조업의 고부가가치화입니다. 기존 제조업 강점을 유지하면서도 더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영역으로 확장해야 합니다. 반도체 분야에서는 단순 제조를 넘어 국내가 약한 팹리스시스템, 어드밴스트 패키징 및 테스트, 소재·부품·장비 특히 HBM과 후공정 장비 분야로 영역을 확장해야 합니다. 배터리 산업에서는 양극·음극 핵심소재, 재활용/리사이클링, BMS·팩 설계, ESS 등으로 밸류체인을 확장하고, 로봇/자동화 분야에서는 협동로봇, 물류로봇, 서비스로봇과 핵심 구동계 기술을 발전시키는게 매우 중요합니다.
향후 소프트웨어와 플랫폼사업에서 K콘텐츠와 연계하여 강력한 IP를 구축하고 허브를 만들어야하며 오의약품에서는 바이오베터·바이오시밀러에서 신약 플랫폼으로 발전시키고 CDMO를 고도화하는게 중요하다고 판단됩니다. 그리고 피키컬 AI에서도 결국 주요하드웨어에서 산업분야를 차지하는게 중요하며 이 부분에서 뒤지지않도록 정부차원에서도 적극적으로 키워나아가야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인구구조상 인력을 투입하여 벌 수 있는 제조업이 더 이상
유지되기는 어려운 상황에 놓였습니다
따라서 다변화를 하기 위해서 적은 인적자본으로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전략으로
넘어가야 하는 시점에 놓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산업구조 다변화라니 참 큰 얘기인데 막상 풀어보면 결국 먹고 사는 문제랑 닿아 있습니다. 지금 우리나라는 반도체나 자동차 같은 몇몇 주력산업에 의존도가 높은 편이라고 합니다. 이걸 풀려면 신산업 육성이 필수인데 대표적으로는 바이오 헬스나 2차전지, 인공지능 같은 분야가 꼽힙니다. 또 전통 제조업을 그냥 두는 게 아니라 디지털화와 친환경 전환을 덧입히는 방식도 중요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내수시장도 작고 지하자원이 없기 때문에 당연하게도 수입/수출 무역에 의존할 수 밖에 없습니다. 다만 장기적인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신산업(첨단 산업) 기술 개발에 집중해서 성과를 만든다면 결과적으로 경제성장을 지속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