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치주염 신경치료를 꼭 해야합니까? 약으로 안될까요?
40대입니다.
이가 썩은 곳도 없고 정기적으로 이빨도 잘 관리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틀전에도 치과 검진받고 더 시리지 않게 하기위해 약도 잔득 발라줘서 뭘 먹어도 시리지 않아서 괜찮은가 했는데요. 그날 x-ray촬영했고, ct,3차원도 촬영했었는데요.
그런데 그날부터 좀 아프다하고 있었는데요. 다음날 점심을 먹으면서 뜨거운 음식을 먹는데요 ~
와 머리가 깨질거 처럼 아프더라고요. 시린 이빨때문에 그런가보다 하고 참고 넘겼는데요.
근데 어제 오후부터 이가 너무 아파서 아무래도 한번 병원에 다시 가봐야겠다 싶어서 오늘 오전에 치과에 갔는데요.
신경이 죽었는지 살았는지... 테스트를 몇번 하시더라고요. 찌릿 한 부분은 와...장난아니다 하고 있고
찌릿하지 않는 부분을 계속 말하시기에...신경치료를 꼭 해야 되는걸까요? 했는데요.
그리고 한 번 더 검사하는데 전혀 찌릿하지 않더라고요. 그러시더니 의사선생님이 신경이 죽은게 맞다고 하면서 이걸 그대로 두면 잇몸쪽으로 염증이 퍼져서 나중에 더 안좋아질수 있다고 하던데요.
신경치료가 답일까요?
차마 선택을 못하고 약만 타서 왔는데요.
아프 치아에 뭔가 닿으면 아퍼요. 그냥 아픕니다.
낼 치과에 다시 가봐야 할거 같아요.
다른 치주과 전문의를 찾아가야 할까요?
아니면 항상 가던 곳이니 그곳에서 신경치료를 받아야 할까요?
원래 급성 치주염은 이런식으로 갑자기 오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잇몸문제라면 잇몸치료 심하면 발치를 하셔야되고, 치아 뿌리끝 염증이라면 신경치료를 하셔야될것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치아의 통증이 그정도로 심한 경우라면 바로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필요해보이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
증상과 검사 결과로 보아 치수괴사(치아 속 신경이 죽은 상태)이고, 이는 치주염과는 별개입니다. 치수염 언급하는 걸 들으신 것 같습니다. 치수염 최종 단계가 치수괴사입니다. 신경치료 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신경이 죽게 되면 내부의 생활력이 없어지기 때문에 외부 감염이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경에 감염이 되어 괴사가 되고 있다면 온도변화에 의해서 통증이 심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해당 부위를 신경치료 해주는 것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