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경제적졸업123
경제적졸업12322.07.19

6세 남아와 감정싸움이 힘드네요

아이라서 한번,두번,세번 알아들을 때까지 가르치고

알려주는게 부모의 도리인데

그게 너무 힘드네요.

뻔히 그렇게 하면 부모가 잔소리하는 줄 다 인지하고 있는데

말을 안듣고 모른체 하니 더 부아가 납니다.

정말 참을 인 자를 가슴 속으로 수백번 씁니다.

남들은 지금 이겨내야 잘 가르칠수있다 올바르게 큰다하지만

심적으로나 몸적으로나 너무 지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입니다.

    지금 정말 힘드실텐데요.

    육아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활동도

    하셔야 건강한 육아가 가능하니 부부간의 교대로

    본인만의 시간을 가져 스트레스를 해소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훈육하는것은 많은 인내심과 노력이 필요한것은 사실입니다.

    말을 안듣고 잘 모르니깐 아이입니다.

    너무 감정을 쏟지 마시고 힘내시면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심리상담사입니다.

    아이가 말을 듣지 않아서 힘들어하시는것 같습니다.

    잔소리겠지만 그 잔소리가 아이를 훌륭한 사람으로

    성장하는데 아주 큰 배움이 됩니다.

    너무 힘들어하지 마시고 이겨내시길 바래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 시기 아이들은 자기 중심적 이라서 부모님의 말은 귀에 들어 오지 않습니다.

    시간이 해결해 줄겁니다.


  • 안녕하세요. 안장이 심리상담사입니다.

    아이가 성장하는 과정이고 부모역할이 중요해요

    나무라거나 야단치는 건 삼가하시고 아이를

    잘 타이르고 잘한건 칭찬해주면서 아이의 자신감을 세워주세요

    아이는 금방 자랍니다

    지금처럼 예쁘고 귀여운모습 사진으로 많이 남겨서

    나중에 열어보세요

    괜히 부모로서 감사하는 마음이 생깁니다


  • 안녕하세요. 정인욱 심리상담사입니다.

    상담자님 더 참으셔요 본인의 사랑스러운

    자식입니다

    아이는 모르는것도많고

    알려줘야하는것도 많거든요

    지금이러시는감정도 아이는 따라서

    배우곤 있답니다

    더 사랑하는 마음으로 대해주시면

    훌륭한 아이가 될꺼에요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일단은 아이가 말을 듣지 않을 때 그 이유를 상세하게 들어주시고

    아이가 잘못되었다면 이를 바로잡아주셔야 합니다.

    정말 힘드시겠지만 어렸을 때부터 올바르게 교육을 하여야 아이가 성장하는 과정에서도

    올바르게 성장하니 정말 힘드시겠지만 아이가 잘못했을 때에는 꾸짖어야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19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는 자신 스스로 말을 듣지 않는 이유를 잘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아이가 말을 안 들을 때, “도대체 너는 왜 그러니?”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표현만 사용하지 않아도 절반의 성공을 거둔 것입니다. 대신 “그러면 이제 우리 어떻게 해야 할까?”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자책하거나 원망하거나, 한탄하는 말투에서 벗어나 문제 해결의 의지를 내비치는 것입니다. 이 표현을 통해 아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행동 등을 의논하는 것이 좋습니다.

    훈육할 때는 항상 평정을 유지해야 합니다. 지나친 벌칙은 아이에게 복수심만 키우니 보상과 벌칙의 균형을 맞춰야 합니다. 또 훈육의 최종 목적은 벌이 아닌 교육이라는 것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체벌을 통해 아이를 가르치면 아이는 나중에 맞은 사실만 기억하고 무엇 때문에 왜 혼이 났는지 기억을 못 하게 됩니다. 체벌을 하게 되면 부모가 가르쳐야 할 메시지는 전달이 되지 않고 관계만 나빠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는 체벌하는 부모를 모델링을 해 다른 친구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경우도 생기므로 체벌은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