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자격증

사회복지사 자격증

맑은시냇가
맑은시냇가

노인 일자리 확대는 노인의 자존감과 사회적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나요?

최근 시니어클럽 등을 통한 노인 일자리 사업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일자리 제공이 노인의 자존감과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은 무엇일까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노인일자리서비스가 노인의 자존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긍정적인 영향은

    자존감 향상, 사회적 관계 확대, 심리적 안정입니다.

    부정적인 영향은

    역할 스트레스, 사회적 갈등, 자존감 저하 가능성 등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경태 사회복지사입니다.

    노인 일자리 사업은 단순히 경제적 지원을 넘어, 노인의 삶의 질과 사회적 관계망에 깊은 영향을 주는 것인데요. 다만 긍정적 효과와 함께 주의해야 할 부정적 측면도 존재합니다. 은퇴 후 상실된 사회적 역할을 다시 부여받음으로써 존재감을 확인할 수 있고요. 다양한 연령층과 함께 일하면서 세대 간 이해와 소통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요. 일자리를 통해 일정한 생활 리듬을 갖게 되어 신체적, 정신적 건강유지에 도움을 줍니다. 그리고 단순한 경제적 보상 이상의 의미로 사회가 여전히 자신을 필요로 한다는 인식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다만 일자리에서 요구되는 책임이나 업무강도가 한계를 넘어서면 부담이 되고 일자리 중심은 단기적 형식적 피상적 관계로 머물고 젊은 세대와의 경쟁 구도 속에서 어떤 분은 이런 말씀도 하십니다. 왜 집에 노는 자녀 일자리 안 주고 자기들 일자리만 주느냐고 말입니다. 이런식으로 세대 간 갈등이 있기도 합니다. 일자리가 자존감을 주지만 대신 업무수행이 안 맞고 배제되고 부당한 대우라고 받아들여지면 자존감이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생각할 때에는 노인일자리는 어르신의 건강을 고려하고 적합한 업무를 배정하고 인간적관계를 실질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정립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사회복지사입니다.

    노인이란 단순히 나이가 많은 사람을 뜻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늘날 사회적 변화와 기술 발전의 흐름 속에서 노인의 역할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직시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노인 일자리 사업은 노인들의 경제 활동에 참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그들의 자존감을 높이는 중요한 사회적 의미를 담고 있기에 긍정적 영향을 많이 미친다 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고동열 사회복지사입니다.

    일단 대부분 61세 정년을 하게 되면 매달 들어오는 일정한 수입이 없어지기에 기존 생활 패턴으로 생활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그런데 일자리가 생겨서 계속하여 일을 할 경우에는 자녀들에게 아쉬운 소리 안하고 본인의 노년을 더욱 풍성히 보낼 것으로 사료됩니다. 그러다보면 아무래도 사회 전반적으로 안정적이고 긍정적으로 흘러 가지 않을까 사료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용 사회복지사입니다.

    모든 사회적 교류의 원천은 돈입니다. 노인 일자리 확대는 노인분들의 경제적 지원과 사회적 교류의 확대를 의미합니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