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가끔협력적인느티나무
가끔협력적인느티나무

꿰멘상처 실밥푼지 5일차인데요 하체운동 러닝 해도 괜찮을까요?? 부분은 정강이입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24

꿰멘상처 실밥푼지 5일차인데요 하체운동 러닝 해도 괜찮을까요?? 부분은 정강이입니다

실밥 푼지 5일차 되는데 혹시 하체운동이나 러닝해도 괜찮을까요?

  • 1번 째 사진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실밥을 푼지 5일차라면 상처가 회복중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체 운동이나 러닝은 상처에 부담을 줄 수 있어 의사의 조언을 듣고 결정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만약 통증이 없고 의사가 허락한다면 가벼운 운동부터 시작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그러나 상처 부위에 통증이나 불편함이 느껴지면 즉시 운동을 중단하고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실밥을 제거하고 나서 가벼운 걷기나 조깅정도의 운동은 가능하지만 너무 고강도의 운동은 추천하지않습니다..

    특히 러닝은 발을 많이 움직여야하고 충격도 많이가해질수 있기때문에 아직은 약해져있는 상처부위가 터지거나 2차 손상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으니 되도록이면 가벼운 걷기정도만 해주시는게 좋아보이네요!!

    좀더 시간이 지난다음에 운동을 해도 괜찮은거니까 지금은 회복에만 집중하셔도 좋을거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실밥 제거를 하였다 하더라도 상처 부위가 약하기 때문에 운동 중에 손상 부위가 다시 개봉 될 수 있기 때문에 2주 정도는 통증을 유발하는 고강도 운동은 하지 않으시는 것이 좋으며 걷기나 조깅 정도의 러닝, 가벼운 저항의 하체 운동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운동 중 통증이 유발되신다면 즉시 중단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동원 물리치료사입니다.

    상처의 회복 상태와 통증 유무에 따라 운동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처 부위가 아직 붓기가 있거나 분비물이 나오거나 통증이 심하다면 운동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능하다면 운동 시작 전에 의사 선생님께 조언을 구하는 것이 좋지만, 통증과 붓기 분비물이 없다면 운동 강도를 천천히 늘려 가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실밥을 제거한 이후에는 가벼운 운동을 하시는 것은 크게 무리가 되지 않지만, 강도가 지나친 경우에는 상처부위가 악화되거나 터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통증이나 붓기등이 지속되는 상태라면 운동은 잠시 피하시는 것이 좋겠고, 정확한 운동시작 시기에 대해서는 주치의와 상담해보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상처주변에 추가적인 감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처방받은 연고나 약복용을 지도에 맞게 유지하시고, 건조하게 유지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만순 물리치료사입니다.

    상처가 많이 아물어서 하셔도 괜찮아보이네요. 다만 상황에 따라서 상처가 벌어질 가능성도 있으니 조심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

    권장하지 않습니다.

    아무리 젊다고 하셔도 아직 상처부위에 딱지도 다 제거되지 않은 상태네요.

    모두 아물고 통증이 충분히 없을 때 시작하셔도 늦지 않습니다.

    덧 날 수 있으니 조심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물리치료 및 재활 전문가 김태호입니다

    알콜솜으로 소독약을묻혓을때 따가운게 느껴진다면 상처가 아직 다 아물지 않은상태이기때문에 이것을 확인해보시고 소독약이 닿았을때 따가움이없다면 다 아문상태라고 보여집니다.

    이점 확인 하시고 상처가 다아물었다면 운동강도는 서서히 강도를 놓혀서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ex)오늘 빠르게걷기20 괜찮으면 다음날 30분, 괜찮으면 가볍게뛰기30분, 무리된다싶으면 아래단계, 이런식으로 서서히 강도를 올리셔야합니다

    답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

    가벼운 러닝정도는 괜찮을것같습니다. 하지만 상처가 벌어질수있는 동작은 피해주시는것이 좋습니다. 정강이 같은경우에는 발등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기때문에 발등이 과도하게 굽혀져서 압력이 올라간다거나 혹은 너무 쫙펴지는 동작들을 피해주시는것이 좋습니다. 고로 가벼운 러닝정도만 해주시며 하체운동은 하셔도 무방하겠지만 혹시라도 상처가 벌어질수있으니 조금 자제하시는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