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를 마시면 잠이 오지 않는다고 하는데 왜 사람마다 차이가 나는건가요??
커피를 마시면 잠이 오지 않는다고 하는데 왜 사람마다 차이가 나는건가요??
특별하게 어떤 성분에 대한 내성이 있어서 그런건가요??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커피의 각성효과는 주성분인 카페인이 뇌의 아데노신 수용체를 막아서 피로감을 억제하게됩니다.
사람마다 반응이 다른이유는 유전적인 차이나 대사속도의 차이떄문인데,
카페인을 분해하는 CYP1A2유전자의 변이나 아데노신수용체 감수성차이에따라서
카페인복용량에따른 반응차이가 일어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질문해주신 것과 같이 커피를 마시면 잠이 잘 안 오는 이유는 카페인이 중추신경계 각성제로 작용하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유전적 차이, 대사 속도, 내성 형성 정도, 생활 습관 등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우선 우리 뇌에는 피로를 느끼게 하는 아데노신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있는데, 이 아데노신이 뇌의 수용체에 결합하면 졸음을 유발하게 되며, 카페인은 이 아데노신 수용체에 경쟁적으로 결합해 신호를 차단합니다. 따라서 졸음이 억제되고 각성이 유지됩니다. 하지만 사람마다 카페인에 대한 반응이 다른 이유는 CYP1A2 유전자 차이 때문입니다. 카페인은 간에서 CYP1A2 효소에 의해 대사되는데요, 어떤 사람은 이 효소가 활발해 카페인을 빨리 분해하고, 어떤 사람은 분해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따라서 같은 양을 마셔도 빠른 대사자는 효과가 약하고, 느린 대사자는 오래 각성 효과를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뇌의 아데노신 수용체 구조에도 개인차가 있어, 카페인이 얼마나 강하게 작용할지가 달라지며 이 때문에 어떤 사람은 커피 한 잔에도 잠을 못 자고, 어떤 사람은 밤에 커피를 마셔도 잘 잡니다. 게다가 이러한 유전적인 요인 이외에도 카페인을 자주 섭취하면, 뇌는 아데노신 수용체 수를 늘려서 카페인의 효과를 줄이는데요 따라서 커피를 자주 마시는 사람은 점점 각성 효과를 덜 느끼고, 심지어 커피를 마셔야 평소 상태가 되는 경우도 있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커피를 마셔도 잠이 오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사람마다 카페인을 분해하는 능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우리 몸에는 CYP1A2라는 카페인 분해 효소가 있는데, 이 효소의 활성도가 높은 사람은 카페인을 빠르게 분해합니다. 반면, 활성도가 낮은 사람은 카페인이 체내에 오래 남아 각성 효과를 더 강하게 느끼는 것입니다.
또한, 뇌의 아데노신 수용체가 카페인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에 따라서도 차이가 납니다.
이 수용체에 카페인이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거나, 수용체의 개수가 많아 카페인이 모두 결합하지 않는다면 수면 유도 물질인 아데노신이 계속 작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카페인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마다 다른 유전적 요인과 카페인을 분해하는 효소의 활성도 차이 때문에 발생합니다. 특히 간 효소인 CYP1A2의 활성도에 따라 카페인 대사 속도가 달라지며, 이는 카페인의 각성 효과 지속 시간에 영향을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