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한결같은코뿔소
한결같은코뿔소23.01.13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미국을 안따라가면 문제가 있나요?

미국이 기준금리를 계속 올리니까 우리나라도 같이 계속 올리는데, 미국이 올릴때 우리나라가 안올리고 가만히 있으면 무슨 문제가 발생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의 금리격차가 벌어진다면, 환율에서 문제가 생깁니다.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신뢰도가 높은 나라인데, 그나라의 이자율이 더 높다면, 외국인 입장에서는 더이상 한국은 매력적인 투자처가 아닙니다. 그러면 자본이 한국에서 미국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원화를 팔고 달러를 사서 이동하게 되므로, 달러 강세, 원화 약세가 발생합니다. 작년에 1450원까지 원달러 확률이 상승하게 된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 입니다.

    원화약세가 안좋은 이유는 한국은 제조업 중심의 국가인데 원유와 같은 원자재를 수입에 의존하는데, 환율이 지속적으로 오르면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게 되고, 이는 기업들의 수익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그리고 수입물품의가격 또한 상승해 인플레이션 압력을 강하게 하여 한국 국민의 구매력 또한 낮아지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기준금리차이가 심화될 경우 원화가치 하락으로 인해 환율은 급등하고, 이에따른 외국인의 투자자금 이탈로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확대됩니다. 이에따라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도 따라갈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 우리나라의 금리는 일반적으로 우리나라가 약간 높은수준으로 이루어지고있습니다만 현재는 미국의 금리가 더 높은 상황으로, 이는 금리역전현상에 의한 부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https://www.bok.or.kr/portal/bbs/B0000347/view.do?nttId=10072008&menuNo=201106


  •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상승할 때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동결될 경우 미국과 우리나라 사이의 금리격차가 발생하게 됩니다. 금리격차가 커질 경우 높은 금리를 쫓아 국내자금의 해외유출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원화가치의 하락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부정적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도 어느정도 미국과 연동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