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에서 평균 소요되는 비용은?
직업상 월소득 중 소모되는 영업비용은 얼마나 되나요? 비율로 알고싶네요 통상 50프로 이상이나가는것으로 알고있는데요 억대연봉자도있고 정말 최저임금정도라는 이야기도있습니다 진입장벽이낮은 메리트는 있으나 실상이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박경식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저는 총수입의 약 30%정도를 평균적으로 쓰고 있습니다!
아주 큰 부분이죠. 일년에 많게는 2천만원이상 쓰더라구요. ㅠㅠ
진입장벽은 낮으나 돈버는건 하늘에 별따기 입니다!
수많은 분들이 입사하여도 1년이후에는 몇분 안남는 이유가 이 때문이죠!
주제넘지만,
설계사를 준비하시는거 같아서 쪼금 말씀드릴께요! ^^
3가지가 있다면 성공할 수 있습니다!
● 무기를 준비해야 합니다!
- '보험이 왜 필요할까 ' 파고들어 공부할 수 있어야 합니다!
- 기본적인 모든 상품들을 한번씩은 공부해 봐야 합니다.
- 사람에게 보험이 왜 필요할지 언제 필요할지도 깊게 생각하고 공부해야 합니다.
공부를 많이 하셔서 "설계사에게 필요한게 아닙니다!
누굴 만나더라도 그 사람의 삶에 도움이 될수 있는 상품을 권해 줄수 있어야 합니다!"
(정말 힘들고요, 정확하게 해내는 설계사가 드뭅니다)
●● 도움을 줄수 있는 지인이 있어야 합니다.
- 설계사들이 가까운 지인에게 다가가지 못하는 이유는 위에서 말한
기본이 안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다 보니 "내 지인에게 필요한게 뭐일까? "
"정말 합리적이면서 나중에 감사의 인사를 받을 수 있는게 있을까?" 에서 답을 못찾기 때문입니다!
기본적인 무기가 잘 준비되어 있다면!
보험설계사를 부담스러워 하지 않고, 지인에게서 오히려 소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게 소개의 소개를 거쳐 끝없는 고객을 창출해야 합니다)
●●● 지인이 없다면, 지인을 만들 재능이 있어야 합니다!
- 가장 어려운 부분입니다!
노력만 한다고 되질 않습니다. 재능이 있고, 아이디어가 있어야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무기는 당연히 탑재한 상태에서요!
고객을 창출할 방법을 미리 생각해 보십시요! 아무리 갈고 닦아 "국제재무설계사" 자격까지 따도,
고객이 없어 손가락 빠는 분들 많거든요!
가장 기본이 되는 설계사 코드만 따도 됩니다! 고객만 창출할 수 있다면, 자격증은 상관없습니다!
자격증 딸 시간도 없죠^^ 바쁜데....
저역시 설계사 업을 오래했고, 2009년부터 지금껏 많은 고충을 겪었습니다.
멘토가 없어 맨땅에 헤딩도 했는데.. 제살깎아 먹기더군요!
절대 지치는 행동은 하면 안됩니다!
전략과 지략이 있어야 버틸수 있습니다!
사기꾼처럼 약아 빠져도 안되고, 답답할 만큼 착하기만해도 안됩니다!
정장을 입고 멋지게 브리핑 하는것도 중요하겠지만,
말하는 것보다 마음의 얘기를 들어주는게 더 중요하다는것!
미천한 답이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적어 봤습니다.
빠르게 성공하셔서 보험인의 긍지를 높여 주시길^^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김성준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정말 고령이 아닌 이상 보험설계사를 시작하기에 사실 늦은 나이는 없습니다.
기본 교육 및 개인적으로 보험시장 동향과 보험지식 및 상품 등에 대해 꾸준히 공부해야 하지만 대다수의 설계사분들이 이 부분에 있어서는 큰 어려움은 겪지 않는 것이 보통입니다.
정말 궁금하신 점은 열심히 하면 '수입적인 부분이 괜찮은지' 일 것입니다.
모든 영업직이 마찬가지겠지만 사람마다 천차만별입니다.
연 억대 이상 수입을 거두시는 분들도 꽤나 많지만 일반 중소기업보다 훨씬 못하는 급여를 받으시는 분들이 대다수로 보입니다.
기본급의 경우 영업채널마다 상이하나 기본 계약유치점수를 유지해야지 소정의 몇 십만원 정도의 기본급 개념이 있는 것이 보통입니다.
고객 DB를 제공하지 않는 대면 영업채널은 '개인적으로' 비추천합니다.
나중에 지인들에게 의존할 확률이 커지기 때문이고 결국 오래가지 않아 그만두게 될 확률도 높습니다.
매일 많은 콜 시도와 의미 있는 긴 콜타임을 통해 노하우를 만드시고 완전판매와 정도영업을 한다는 가정하에 상위 5% 안에 꾸준히 드신다면 전망은 좋습니다.
마인드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건투를 빕니다! 대신 신중하게 선택하시길 권유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지성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뭐 다른 사람처럼 긴글말고 서로편하게 간략하고 팩트만 말씀드리죠
설계사를 해보시려는건가요??
그건 다다릅니다
저는 소모되는비용은 기름값 고객하고 차한잔 마시는값 외에 거의 없습니다
실상은 항상 마감에 쪼달리고 고객한테 시달리고
3개월 6개월 1년만 버텨보시면 알게되실거에요
그리고 보험은 일을 해보면 도움이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윤현준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보험업을 영위하시는 분들의 비용은 천차만별이라
딱 몇 %가 나간다라고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사람의 성향에 따라 비용을 넉넉히 쓰시는 분도 있고
엄청 아끼시는 분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설계사 라면 영업활동 하면서 발생하는 비용이 주를 이루며
고객과의 식음료, 교통비, 광고비, 감사표시 등등 이죠
비율은 연봉이 적을수록 올라갑니다.
적게 버시는 분도 비용이 어느정도는 발생하기 때문이죠
많이 번다고 비용이 엄청나게 증가하지는 않습니다.
팀장급이 되면 본인영업활동 외에도
팀원회식 등과 같은 부분이 추가됩니다만
팀을 이루면 자연스럽게 수입이 증가되기 때문에
본인이 조절을 잘한다면 부담스러운 수준은 아닙니다.
지점장급 이상 관리자라면
회식비 외에도 지점원의 활동장려를 위한
각종 시책비용을 소모하게되고 정기적으로 시상금도 지급합니다
그외 추가적인 지원금은 사람에 따라 다르긴 합니다.
저의 경우는 작년에 소득대비 순수 사업비 사용은 약 25~30%정도였네요
차량유지비,통신비, 개인식대는 제외하고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이지원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납입 유지하시는데 경제적 부담이 없을 경우가 제일 적당합니다.
보험은 경제 능력이 활발할때 최대한 빨리 가입하시는게 좋습니다.
보험 필수 1 : 실비 보험
보험 필수 2 : 3대질병 (암,뇌,심장) 진단비, 수술비 (유사암 보함)
보험 선택 1 : 질병수술비, 상해수술비, 각종 질병 진단비
보험 선택 2 : 연금보험, 퇴직연금, 저축보험
보험 선택 3 : 종신보험 (사망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