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수익금에 수수료와 제세금을 제한 값으로 수익금이산정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주식 수익금을 산정할때 수수료와 제세금을 제한 값으로 수익금이 산정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서 사고팔때 수수료와 제세금이 약 0.3퍼 정도라고 하면
주식이 수익률이 10%일때 이중 0.3%를 제한값인 9.7%가 나의 수익금으로 산정되어 그 금액에 따라서 세금을 부과하는 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윤민선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수익금을 산정할 때는 수수료와 제세금을 제한 값으로 계산합니다.
주식 거래에서 발생한 순이익을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서는 매도 시점의 수익에서 다음 항목들을 차감해야 합니다:
1. 매매 수수료: 증권사에 지급하는 거래 수수료.
2. 거래세: 주식을 매도할 때 발생하는 세금.
증권거래세가 부과됩니다.
3. 제세금: 일정 수준 이상의 수익에 대해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와 같은 세금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즉, 단순히 매도 가격에서 매입 가격을 뺀 금액이 수익이 아니라, 수수료와 세금을 모두 차감한 후의 금액이 실제 수익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수익금을 산정할 때 수수료와 제세금은 실제 수익금에서 차감되는 비용입니다. 예를 들어, 주식의 수익률이 10%일 경우, 0.3%의 수수료와 제세금을 제한 후 실제 수익률은 9.7%가 됩니다. 이 9.7%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식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의 말씀중에 수익률 10%에 수수료와 제세금이 약 0.3% 정도라고 하셨기 때문에, 이미 수익에서 세금이 빠진다는 말씀으로 이해가 됩니다. 제세금이 세금이니 세금을 중복해서 부과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수익금을 산정할 때에는
발생한 비용 등을 모두 공제하여야 하는 등
이에 따라서 수수료 등을 모두 제외하고 수익금을
산정하는 것이 맞을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증권거래세는 딱히 내가 납부하기도 전에 자동으로 부과되기 때문에 수익에서 제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수익금을 산정할 때 수수료와 제세금을 제한 값으로 계산하는 것이 맞습니다. 예를 들면 주식을 사고팔 때 발생하는 수수료와 세금(약 0.3%)을 차감한 후 실제 수익이 계산됩니다. 만약 주식이 10% 수익을 냈다면 수수료와 세금 0.3%를 뺀 9.7%가 실제 수익으로 산정됩니다. 이 수익에 대해 추가적인 세금(양도소득세)이 부과될 수 있지만 그 대상은 큰 금액의 수익을 거둔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매수수수료와 매도수수료 제세공과금을 제외하면 남은금액은 이익이라고 보시면됩니다.
이러한 부분은 주식잔고에서 수수료 포함으로 체크하면 수익이 어느정도인지 확인이 되니
이렇게 설정해서 운영하시는게 보시기 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