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심각한랍스타4
심각한랍스타422.11.17

휘발유가격보다 왜 경유값이 더비싼가요

예전에는 경유보다 휘발유값이 더비샀는데 점점 경유값이 더

비싸졋는데 왜이런가요?

궁금하고 이해가안되는거 같습니다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해외의 경우는 경유 가격이 휘발유 가격보다 비싸다고 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정부의 유류세 정책으로 인해서 경유를 휘발유보다 저렴하게 사용하고 있었는데, 정부가 유류세 인하에 대해서 휘발유의 탄력세율은 리터당 529원에서 423원으로, 경유의 탄력세율은 리터당 375원에서 300원으로 인하하였습니다. 결국 정부의 유류세 인하가 경유보다 휘발유에 대해서 더 많이 적용되다 보니 경유가격이 상대적으로 더 가격이 높아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다른 이유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서 경유를 중심으로 한 석유제품 수급에 차질이 생기게 되면서 수급에 따른 경유가격의 상승이 휘발유 상승폭보다 크게 적용되게 된 것도 하나의 요인이라고 볼 수있습니다.

    경유가격의 상승의 가장 큰 원인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종결되어야지 경유가격의 상승이 멈출 것이라 예상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제 원유 시장에서는 과거 한국의 사례처럼 경유가 휘발류 보다 싸지 않고 늘 경유가 더 비싸게 거래되었습니다.

    한국에서 경유가 더 싼 이유는 경유가 서민 에너지원이라는 인식이 강해 가격 책정과 세금에서 차이를 두며 항상 휘발류 보다 더 낮게 가격이 책정된 바가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경유의 국제 가격 상승, 휘발류의 유류세 감면 폭 등으로 휘발류가 더 싸게 되었습니다.

    또한 경유의 사용처가 휘발류 보다 더 넓어서 수요가 더 많다는 점도 경유 가격 상승에 한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유류세 인하가 점진적으로 줄어들면 다시 경유 가격이 휘발류 대비 싸질 수 있으나 과거처럼 리터당 500원 이상 큰 차이는 발생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