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혼자서 노는 경우가 많아요.
유치원 선생님은 걱정하지 말라고 하시지만, 집에서는 또래 친구들과 놀 때 늘 어색해하는 모습이 보여서 걱정입니다. 아이 사회성을 키우기 위한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사회적으로 잘 어울리지 못하는 경우, 많은 인원이 있는 대집합보다는 작은 그룹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친구들이 많을 때는 부담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두세 명의 친구와 함께 소규모 활동을 하는 것이 더 편안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아이의 사회성 발달은 시간과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이루어집니다.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지 말고, 작은 변화와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아이가 점차 친구들과 잘 어울릴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엇보다도, 아이에게 편안하고 자신감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사회성 발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친구들과 어울리지못하고 혼자서 노는 경우가 많을 때에는 이렇게 해보시기 바라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사회성의 부족함의 원인은
아이가 가지고 있는 기질적 특성 때문 입니다.
아이의 기질이 소심하고, 소극적이고, 조용하고, 내성적이고, 부끄러움이 많고, 쑥스러움이 많고, 낯가림이 심하고, 내향적인 성향이 짙다 라고 한다면
이러한 기질을 가진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는 것 자체가 미흡하기 때문에 친구들과 사귐에 있어서 어려워 하는 경우가 많겠습니다.
이러한 기질을 가진 아이들에게 도움이 되는 활동은 역할극 입니다.
아이들과 함께 역할극을 하면서 친구에게 다가가는 방법, 친구와 놀이 및 대화 시 상황에 맞는 행동,언어,제스처 그리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는 아이의 기질이나 성향 등 다양한 이유일 수 있어요. 아이가 다른 사람과 노는 것보다는 혼자 조용히 노는 것을 선호하는 걸 수도 있어요. 아이가 그걸로 힘들어 한다든지, 다른 아이들이랑 놀고 싶은 마음이 있는지 등을 먼저 질문해 보세요. 만약 다른 아이들이랑 놀고 싶은 마음이 있다면 먼저 같이 놀고 싶다고 제안하는 말을 할 수 있도록 독려해 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친구들과 잘어울리지 못하고 혼자서 노는 경우아이가 자신감을 갖고 친구들에게 다가가도로긍정적 피드백과 칭찬을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부모가 친구들과의 소통 방법이나 사회적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친구와의 대화나 문제 해결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아이에게 좋은 예를 보여주세요. 간단히 인사하기, 질문하기 등 사회적 기술을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세요.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많은 친구들보다는 소규모로 한 두 명의 친구와 함께 놀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세요. 이렇게 하면 아이가 더 편안하게 대화를 나누고 놀이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집에서 역할 놀이를 통해 사회적 상황을 연습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