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사장의 모래는 왜 하얗나요?
일반적으로 모래를 떠올리면 놀이터에 있는 갈색 모래가 떠오르는데요.
백사장 해변의 모래는 어떻게 전부 하얀색일 수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백사장의 모래는 대부분 사각형 모양의 광물질인 규산염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규산염은 대부분 백색이며, 모래의 색깔은 이 규산염의 색깔에 따라 결정됩니다.
백사장의 모래가 하얗은 것은 바로 이 규산염이 백색인데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규산염은 대부분 석회암, 대리석, 석영 등의 광물질에서 나오는데, 이러한 광물질은 백색인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백사장의 모래가 다른 색깔인 경우에는 철분, 마그네슘, 금, 진주 등의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물질이 모래에 섞이면 모래의 색깔이 변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백사장의 모래는 하얗게 보이지만, 사실은 투명하고 무색이며, 빛이 잘 반사되는 광물인 석영이나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광물이 자외선을 받으면 빛을 흡수하고, 발광하여 하얀 색으로 보입니다. 또한, 파도와 바람에 의해 석영 입자가 매끄러워지고 둥근 모양을 가지게 되면서 더욱 빛을 잘 반사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백사장은 하얗게 보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섬과 같이 격리된 해변에서도 조개 껍데기가 오랜 기간 동안 파도에 부서지게 되면 마찬가지로 풍화작용을 겪게 되죠. 이 결과 바닷가 백사장 위를 반짝이게 만드는 하얀 모래가 되는 거랍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백사장의 모래는 흰 빛을 반사하도록 만드는 다양한 원인들이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이유는 근처에 백사장을 형성하는 물고기, 조개 등의 석회질 물질이 많은 해양 생물이 서식하기 때문입니다. 이 생물들이 석회질을 먹고 대사과정을 통해 배설물로 바다로 배출되면, 이것들이 파도에 의해 해변으로 밀려와 모래를 구성하게 됩니다.
또한 백사장 모래가 흰색인 이유 중 하나는 모래알의 크기 때문입니다. 백사장 모래알은 작고, 둥글고, 선명한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흰색 빛을 반사하기 쉽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또한, 해변 근처의 광물질도 모래가 흰색인 이유 중 하나입니다. 백사장 근처에서 발견되는 광물질은 대개 흰색이며, 모래를 구성하는 미립자 중 일부가 이러한 광물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