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 클래스 알파벳별로 특징이 뭔가요?
펀드 투자할 때 약관을 보면 해당 펀드에 어떤 클래스가 있는지 나옵니다. 굉장히 많은 알파벳이 있는데 펀드 클래스 알파벳별로 특징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A클래스는 선취수수료
B클래스는 후취수수료
E클래스는 온라인전용
S클래스는 고액 투자자 전용
W클래스는 퇴직연금용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요 펀드 클래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A클래스
선취판매수수료(납입금액의 1% 이내) 부과, 연간 판매보수가 낮음. 장기 투자에 유리.
C클래스
선·후취수수료 없음, 연간 판매보수가 높음. CDCS(체감식 보수 인하) 적용 시 장기 투자 비용 절감 가능.
E클래스
온라인 전용 펀드, 판매수수료와 판매보수가 저렴함. 투자자가 직접 가입·환매 결정.
S클래스
특정 증권사(예: 우리투자증권)에서만 가입 가능, 선취수수료 없고 연간보수가 1/3 수준으로 가장 저렴.
기타 클래스
F클래스 : 기관투자자·고액거래자 전용, 100억원 이상 투자자 대상.
P클래스 : 연금계좌 전용, 세액공제 혜택 제공.
W클래스 : Wrap Account 또는 ISA 계좌 전용.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A: 총보수+ 최초 가입 시 수수료 부과 (선취 판매수수료), 펀드 가입 시 수수료가 발생하지만 연간 보수가 낮음
B: 총보수 + 해지 시 환매 수수료 부과 (후취 판매 수수료), 펀드 해지 시 수수료가 발생하지만 연간 보수가 낮음
C: 총보수만 부과, 별도의 수수료가 없지만 연간 보수가 높음
D: 총보수+ 선취 판매 수수료 + 후취 판매 수수료 부과, 우리나라 펀드 상품에는 없는 클래스
E: 온라인 전용 펀드, 온라인 판매 시스템을 통해서만 가입 가능
F: 기관투자자 전용 펀드, 금융기관 투자가만 가입 가능
G: 창구 전용 펀드, 실제 방문 후 창구에서만 가입 가능
H: 장기 주택마련 저축 전용 펀드, 비과세혜택은 2012년 가입자까지만 적용
I: 고액거래자 전용 펀드, 기관 및 운용사별 기준에 따른 고액거래자(기관투자가)만 가입 가능
W: 랩어카운트 전용 상품, 증권사가 고객 계좌의 돈을 주식, 채권, 펀드, 파생상품 등 다양한 자산 에 투자하는 상품 ex) 주식랩, 펀드랩
T: 소득공제 장기 펀드, 5년 이상 유지 시 납입금액의 40%를 소득공제
P: 개인연금형 펀드, 노후 연금 수령을 목적으로 하는 펀드, 연 300만원 소득공제 + 55세 이후 연금소득세(최대 5.5%)만 부과되어 절세혜택(이자소득세 15.4%의 1/3수준)
S: 펀드 슈퍼마켓 전용 펀드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펀드 클래스 알파벳별 특징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펀드 클래스는 투자시 발생되는 수수료 및 보수 쳬게로 구분이 되는데
A 클래스는 선취수수료가 부과되고
C 클래스는 선취수수료는 없지만 연간 보수가 높고
E 클래스는 일반적으로 A 클래스보다 저렴한 보수가 제공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펀드 클래스에 붙는 알파벳은 판매 방식이나 수수료 구조를 구분하려고 만든 표시입니다. A클래스는 선취수수료 방식이라 가입할 때 떼고 들어가고 C클래스는 후취 방식이라 환매할 때 수수료를 내는 구조입니다. I클래스는 기관투자자 전용이라 개인은 가입이 어렵고 R은 퇴직연금 전용으로 쓰입니다. S나 E같이 생소한 것도 있는데 그건 증권사마다 자체적으로 부여한 경우도 많아서 약관을 따로 봐야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알파벳이 다르면 수익률이나 운용 전략은 같더라도 실제 수수료나 세금 부담에서 꽤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무 펀드나 가입하기보다는 클래스 확인부터 하는 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펀드 클래스의 알파벳은 수수료와 투자 목적에 따라 구분됩니다. A는 선취수수료(가입 시)로 장기투자에, C는 선취수수료 없이 보수가 높아 단기투자에 적합하며, E는 온라인 전용, P는 연금, F는 기관전용 등 용도별로 나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