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똘똘한개미핥기235
똘똘한개미핥기235

일본엔화에 따라 왜 금융시장이 출렁이나요

일본은행의 금리인상으로 엔화환율이 급등하고 금융시장이 급락하고 하는데요 일본의 금리가 세계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아직도 이렇게 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은 오래 동안 제로/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많은 투자처들이 일본의 낮은 금리의 자금을 빌려서 금리가 높은 시장에서 투자하면서 세계 경제의 유동성을 창출 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일본중앙은행 BOJ에서 금리가 인상 되면서 이러한 유동성이 축소 되는 우려가 발생하여 위험자산군이 급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 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 엔화 환율의 변동은 마치 나비효과처럼 세계 금융시장을 뒤흔들 수 있습니다. 특히 일본은행이 금리를 조절하면 엔화 가치가 춤을 추듯 오르내리며, 이는 국제 금융시장에 큰 파문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먼저, 일본은행이 금리를 올리면 엔화 가치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마치 댐의 수문을 닫는 것처럼, 낮은 금리의 엔화를 빌려 다른 나라에 투자하는 '엔 캐리 트레이드' 자금을 일본으로 되돌아가게 만듭니다. 이렇게 대규모 자금이 빠져나가면 투자 자산 가격이 하락하고, 금융시장 전체가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엔화는 안전 자산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세계 경제가 불안하거나 위험 자산에 대한 투자 심리가 위축될 때 엔화 가치가 상승합니다. 이는 마치 폭풍우가 몰아칠 때 안전한 항구를 찾는 것과 같습니다. 엔화 가치 상승은 안전 자산 선호 심리를 더욱 부추겨 주식이나 원자재 같은 위험 자산 가격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엔화 가치 상승은 일본 수출 기업의 가격 경쟁력을 약화시켜 일본 경제 성장을 둔화시키고, 일본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다른 나라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은 국제 자금 흐름에도 변화를 가져옵니다. 금리가 높아진 일본으로 돈이 몰리면 다른 나라에서는 돈이 빠져나가 금융시장이 불안해질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엔화는 세계 주요 통화 중 하나이기 때문에 엔화 가치 변동은 다른 나라 통화 환율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엔화 환율이 급격하게 변동하면 외환시장이 요동치고, 환율 변동에 민감한 기업들은 불확실성 속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일본 엔화에 따라 금융시장이 출렁이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바로 엔 캐리 트레이드 때문에 금융 시장이 출렁거리고 있습니다.

    엔화가 오르면 엔화를 빌려서 투자한 곳들에서 청산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말이 많은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문제로 그렇습니다 제로금리로 일본에서 조달한 자금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에 투자한 기관투자자들이 어마하게 많거든요 일본이 기준금리를 올리니 조달비용증가로 그간 투자했던 자금을 회수하고 청산하는거죠 그래서 요즘 말들이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경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 엔화의 환율과 금융시장이 출렁이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이 세계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여전히 크며, 몇 가지 주요 요인이 있습니다.

    일본은 오랜 기간 동안 초저금리 정책을 유지해왔습니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은 일본에서 낮은 금리로 자금을 빌려 다른 고수익 자산에 투자하는 ‘캐리 트레이드를 활용해왔습니다. 일본은행이 금리를 인상하면 이러한 캐리 트레이드가 줄어들고, 자금이 일본으로 돌아오게 되어 엔화의 가치가 상승합니다. 이 변화는 글로벌 자산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은 다른 국가의 금리 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일본의 금리가 상승하면 다른 나라의 중앙은행들도 금리 인상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자산 가격에 영향을 미칩니다. 금리 상승은 대출 비용을 증가시키고 소비를 줄여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본의 금리 인상은 투자자들에게 불안감을 줄 수 있습니다. 금리 상승은 기업의 자금 조달 비용을 증가시키고, 이는 기업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우려는 주식 시장에서 매도세를 촉발하며, 금융시장을 더욱 출렁이게 만듭니다.

    엔화의 환율 변동은 일본 경제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제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엔화가 강세를 보이면 일본의 수출 경쟁력이 약화되어 일본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엔화가 약세를 보이면 수출이 증가할 수 있지만,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은 엔화의 환율과 글로벌 금융시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투자자들의 심리와 자산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글로벌 금융시장에 값싼 엔화의 자금이 많이 투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 일본은 장기간 제로금리 정책을 유지해왔습니다

    • 이 때 저렴한 금리를 바탕으로 유동성을 키운 후에 글로벌 금융상품에 투자하는 과정을

      거쳤고 이 자금들이 일본이 금리를 다시 올리니 회수되고 있는 것입니다

    • 따라서 일본 금리의 변동에 따라 엔화의 시세가 변동하고 이에 따라 엔캐리 트레이드

      자금이 회수되어 글로벌 증시에 영향을 주게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일본의 대외 대출은 약 1조달러이며, 일본 투자자들이 직접 해외 증시에 투자하는 규모는 1분기 기준 일본의 해외 증시 투자액은 약 3조4000억 달러입니다.

    이외에도, 1조8000억달러 규모의 정부 연기금 중 약 절반이 해외 주식과 채권에 투자되며, 이는 약 9000억달러가 해외 자산에 투자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총합 약 5조3000억달러 정도의 규모의 앤 캐리 트레이드가 존재하며, 이와 같은 자금이 빠져나가게 되면 자산 가격의 변동성이 심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엔캐리트레이드의 구조부터 이해하시면 되는데요 우선 이 구조가 초저금리의 엔화를 차입하여 미국의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은 국채나 상대적으 위험자산 미국주식 이외 여러 선진국이나 주요국의 통화나 국채등에 투자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그리고 이는 미국의 대형헷지펀드사가 주로 레버리지형태로 매매를 하며 이 규모가 200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성행하였고 지금은 천문학적으로 규모가 커진상황입니다 ( 총 20조달러이상으로 추산 )

    이에 최근 일본의 깜짝 금리인상과 하반기 공격적인 스탠스로 엔화가치가 급격하게 상승하고 달러가치가 하락하자 환차손과 미국채의 대한 손실이 늘어나자 이 손실을 줄이기 시작하면서 청산을 하였고 일부는 강제청산이나 숏커버물량이 지속적으로 나오면서 전세계 위험자산시장에 패닉셀을 불러온것입니다.

    이에 엊그제 일본의 중앙은행 부총재가 시장을 안전시키고자 시장의 영향을 줄 정도로 금리인상 계획은 없다면 스탠스를 바꾸자 다시금 시장의 안정화를 불러왔고 이러면서 다시 급반등이 불러오는 시장의 변동성을 크게 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그렇습니다. 오늘 BOJ(일본은행)에서 추가 금리 인상을 하지 않겠다고 발표했지만 일본의 금리 인상의 영향은 환율의 영향을 주는데 그 원인에는 엔 캐리 트레이드 자금과 관련이 있습니다.

    엔 캐리 트레이드는 일본의 낮은 금리를 이용하여 높은 금리를 주는 투자 국가에 투자하는 자금을 말합니다. 현재 일본의 기준금리가 0.25%이고, 미국의 기준금리가 5.5%임으로 양국간의 이자율 차이가 5% 이상 발생함으로 투자자라면 누구나 일본에 가서 자금을 빌려 달러로 교환하여 미국에 가서 예금해야겠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실제적으로 이런 엔 캐리 트레이드를 기관 투자자들이 하고 있습니다.

    저금리 통화인 엔화로 자금을 차입하면 대략 1% ~ 2% 내에서 조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조달한 엔화를 팔고 고금리 통화나 고수익 자산에 투자합니다. 대표적으로 금리를 많이 주고 있는 미국의 국채, 주식, 부동산등에 투자하는 것이지요.

    문제는 일본의 저금리 정책을 활용한 엔케리 트레이드가 일본의 기준금리 인상(더하여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이라는 악재로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투자자들은 미 달러를 대량으로 팔고(달러가치 하락, 환율하락) 다시 엔화를 사서(엔화가치 상승, 환율상승) 엔화 대출을 상환해야 하고 이 때 이를 엔케리 청산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엔화의 가치가 폭등하고 환율시장이 불안해진 것입니다.


  • 일본의 경제 자체가 전세계 경제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만

    엔 캐리 트레이드라는것이 중요하게 작용하고있습니다.

    수십년간 일본은 저물가로 저금맂 정책을 펴고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저금리와 안정적인 화폐, 경제로 인해 많은 투자자들이 일본에서 돈을 빌려서 수익성이 높은 나라에서 투자를 하는 방식으로 투자를 해왔고, 총액이 2경원정도 될것이라고 추정합니다.

    그런데 일본의 금리가 올라가면 일부 엔캐리드레이드 자금이 빠질것이고, 일부만 빠져도 금액이 엄청나기 때문에 전세계 투자자산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은 세계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나라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일본의 금리 변동은 세계 금융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은 엔화의 가치를 높이고 일본의 수출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어서 세계 경제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일본의 금리 변동은 국제 자본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며 글로벌 금융시장에 파급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의 금리 인상이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작업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세계 증시가 흔들리게 됐습니다.

    일본의 엔화를 저금리로 빌려서 다른 나라 자산에 투자했던 외국인과 기관이 수익률이 떨어질 것을 우려해 빌린 엔화를 청산하기 위해 투자금을 빼다보니 금융시장의 불안감을 가져왔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정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이 장기간동안 제로금리에 가까운 금리를 유지했기 때문에, 금리가 낮은 엔화를 일본은행에서 빌려서 금리가 높은 국가의 은행이나 자산시장에 투자하게 되면서 많은 자금이 금리가 높은 국가에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이런상황에서 금리를 인상한다고 하니 풀려있던 자금들이 회수가 되어 거품이 꺼지게 되면서 증시에 큰타격이 오게되어 많은 국가에 영향을 주게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엔캐리 청산 이슈 때문입니다. 일본은 십수년간 제로금리를 유지했는데 최근 2차례 금리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일본의 기준 금리가 인상되면 고금리를 쫓아 국외로 투자에 나선 엔화 자금이 자국으로 복귀하려는 니즈가 강해 지는데 이것을 '엔캐리 청산'이라고 합니다. 이럴 경우 엔화 자금 투자가 많은 주요국 주식과 채권 가격이 엔 캐리 청산으로 매도가 많아서 하락할 가능성이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