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쌍커플과 외커플중에 어느 것이 우성인가요?

안녕하세요 쌍커플이랑 외커플중에 어느 것이 우성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속쌍커플은 쌍커플쪽인가요? 외커플쪽인가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김지호 박사
    김지호 박사
    서울대학교

    안녕하세요.

    쌍꺼풀은 외꺼풀에 대하여 우성으로 작용하는데요, 따라서 쌍꺼풀의 유전은 멘달의 유전 법칙에 따르면 우열의 법칙에 의해 쌍거풀과 외꺼풀 유전자를 모두 가진 일명 잡종인 사람은 우성인 쌍꺼풀을 갖게 됩니다. 또한 속쌍꺼풀은 눈을 뜨면 쌍꺼풀이 거의 보이지 않거나 속으로 숨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쌍꺼풀의 변형 중 하나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속쌍꺼풀은 기본적으로 쌍꺼풀(우성) 형질에 속합니다. 유전적으로는 쌍꺼풀이지만, 그 표현형이 약하게 나타난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눈의 쌍커풀과 외커풀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외커풀이 우성 형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멘델의 유전법칙에 따라 외커풀 유전자가 쌍커풀 유전자에 대해 우성으로 작용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눈 모양의 유전은 단순히 한 쌍의 유전자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유전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다인자 유전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완전한 우성-열성 관계로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 속쌍커풀의 경우, 이는 외견상 외커풀처럼 보이지만 눈을 감았을 때 쌍커풀 선이 있는 형태를 말합니다. 유전학적으로는 쌍커풀과 외커풀의 중간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단순히 쌍커풀이나 외커풀 중 하나로 분류하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우선 질문의 답변을 간략히 말씀드리면,

    쌍커플이 발생하는 유전자는 우성이며, 속쌍커플은 쌍커플종류중의 하나로 지방이나 조직, 근육, 그리고 유전자 발현정도에 따라 구조적인 차이가 있어 잘 보이지 않는 쌍커풀 입니다.

    쌍커풀은 사안검에 주름이 생겨 눈꺼풀이 두개로 보이는 것인데 특정유전자 또는 다양한 유전자의 발현에 의한 특성이라고 알려져있습니다. 우성이라는 말은 쌍커플이 있는 부모 밑에서 자녀는 쌍커플일 확률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해당유전자는 PAX6 (paired box 6) 로 눈 발달과 관련된 유전자로 안구 형태구조와관련합니다.

    FOXC2 (Forkhead Box C2) 유전자는 지방 조직의 발달 분포와 관련합니다. 눈꺼플의 지방과 관련있습니다.

    EPHA2 (Ephrin Type-A Receptor 2) 유전자는 눈 발달과 투명도와 관련하여 쌍커풀형성에 직접적관련이있다고 알려져있습니다.

    MYH9 (Myosin Heavy Chain 9) 는 세포골격과 조직형성에 관여하는데 특히 쌍커플 근육과 조직발달과 관련하는 유전자입니다.

    특정유전자가 딱 발현한다기보다는 여러유전자들과 환경적요인과의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쌍커플은 Double Eyelid 라고 하며 상안검 주름에 의한 두겹으로보이는 현상입니다.

    유전자의 조합에 의한 발현에 의해서 상안검 피부와 지방분포의 영향을 받구요, 우성형질로 알려진 신체특성으로 부모중 한명이 쌍커풀이 있다면 자녀도 그 것을 가질 확률이 높아집니다. 반대로 외꺼플은열성으로 부모모두 외커풀이여야지만 외꺼풀의 자녀가 태어날 수 있습니다.

    쌍커풀은 서양인이 많이 가지고 있는데 80~90%의 비율입니다. 그리고 나이가 들수록 피부탄력이 떨어지고 지방분포가 변하기때문에 쌍커풀 형태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노화로 인해 심해질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입니다. 성별의 차이는 없지만, 보통 여성들이 미용을 이유로 성형수술로서 인위적으로 만들기도 합니다.

    쌍커풀 중 속쌍커풀은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쌍꺼풀은 눈꺼풀이 두겹이 되어 뚜렷한 주름이 형성되면서, 눈이 크게 보여지는 효과가 있는데 반하여, 속쌍꺼풀은 눈감을때는 보이는데 눈을뜨면 주름이 거의 안보이거나 살짝 보이는 형태로 눈이 크게 보여지는 효과가 일반 쌍커풀보다 덜합니다. 일부사람들은 속쌍커풀을 선호하기도 합니다.

    이 두가지의 유전적 연관성은 있지만, 이 역시 여러 유전자의 발현 차이에 따른 눈꺼풀의 지방이나 조직, 근육 등의 다양한 조건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다고 합니다.

    피부와 지방의 두께 : 눈꺼풀의 피부가 얇고 지방이 적을때 살짝 나타날 수 있는데 반해 , 일반쌍커풀은 피부도 두껍고 지방이 상대적으로 많을때 뚜렷하게 보여집니다.

    쌍커풀 근육 : 강한 눈꺼풀 근육은 눈꺼풀의 주름을 뚜렷이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그외에도 구조적이거나, 환경적인 요인 예를 들면 나이나, 피부손상정도, 노화 정도에 따라 잘라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유전적으로 쌍커플이 우세하다거나 열성적이라고 일반적으로 말할 수 있는 것은 없습니다. 쌍커플과 외커플은 각각의 상황과 유전 환경에 따라 다양한 이유로 선택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쌍꺼풀과 외꺼풀 중 쌍꺼풀이 우성형질입니다.

    그래서 쌍꺼풀 유전자가 한개라도 있으면 쌍꺼풀이 있는 눈을 가집니다.

    다만 속쌍꺼풀처럼 쌍꺼풀이 있지만 안쪽으로 들어가서 티가 잘 나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 경우도 쌍꺼풀이 있는것이기에 쌍꺼풀 유전자를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쌍꺼풀이 외꺼풀에 비해 우성 형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쌍꺼풀 형성에는 여러 개의 유전자가 관여하며, 이 유전자들의 조합에 따라 쌍꺼풀이 나타날 확률이 달라집니다. 쌍꺼풀 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가진 사람이 외꺼풀 형질을 가진 사람과 결혼하면, 자녀는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유전자 조합에 따라 쌍꺼풀이나 외꺼풀이 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우성 형질의 특징이 나타나는데, 우성 형질은 한 쌍의 대립 유전자 중에서 한 개만 존재해도 그 형질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쌍꺼풀 유전자를 하나만 가지고 있어도 쌍꺼풀이 나타날 수 있는 확률이 높습니다.

    하지만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단순한 우열 관계는 아니라는 것입니다. 쌍꺼풀 형성은 단순히 하나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유전자의 상호 작용과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복잡하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부모가 모두 쌍꺼풀이라고 해서 자녀가 반드시 쌍꺼풀이 되는 것은 아니며, 부모가 모두 외꺼풀이라고 해서 자녀가 반드시 외꺼풀이 되는 것도 아닙니다.

    또한 후천적인 요인도 작용합니다. 쌍꺼풀은 유전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나이, 성별, 안면 비율 등 다양한 후천적인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것이죠.

    결론적으로, 쌍꺼풀이 외꺼풀에 비해 우성 형질이라고 할 수 있지만, 쌍꺼풀과 외꺼풀의 유전은 매우 복잡한 과정이며, 단순히 우성과 열성의 개념으로 설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쌍커풀과 외커풀 중 어느 것이 유전적으로 우세한지에 대해서는 일반화하기는 어렵습니다. 속쌍커풀의 경우 쌍커풀이 있는 것으로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