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숙연한독수리227
숙연한독수리227

걱정이 되고 불안해서 여쭈어봅니다 알려주실수 있으신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27

제가 22일에 일본에 갔다가 25일에 돌아왔는데 하루정도 일을 나가고 나서 이틀을 쉬게 되어서 어제랑 오늘 쉬었는데 어제 여행을 다녀온뒤 바로 일을 나가서 그런건지 되게 피곤해서 늦잠을 자고 일어난뒤 일본에서 사온 컵라면을 먹었습니다. 그러고 나서 폰을 하고 티비를 보는데 뭔가 토를 할거 같아서 화장실에 가니 바로 토를 하더라고요... 그래서 뒷처리를 한다음에 쉬었는데

뭔가 물을 마시거나 그러면은 팔이 저린거 같고 머리도 아픈거 같고 가슴 왼쪽 가슴 심장 쪽이 아픈거 같고 그러더니 오늘은 그나마 괜찮더라고요...

그래도 아직까지는 뭔가 그런 느낌이 있는데 괜찮은건가요? 자다가 잘못되거나 그럴까봐 걱정이 되는데 괜찮을까요? 워치로 심박수를 재보면 괜찮습니다. 이러면 걱정을 안해도 되는건가요?

먹을거는 다먹고 마실것도 음료수 마시고 그랬습니다.

제가 불안장애가 있어서 그런가 자다가 잘못되거나 그럴까봐 걱정이 되는데 이런 걱정은 안해도 되는건가요?

약을 먹는데도 이래서 좀 답답하기는 합니다...

머리도 답답한거 같은데 이거는 제가 숨을 안쉬는 습관때문에 이러는거 같기도 하고 신경을 하도 써서 이러는 건지...

궁금합니다... 괜찮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네 걱정이 많고 불안하면 몸도 더 긴장되서 불편감이 여기저기 나타납니다 별다른 증상은 아니니 안심하세요

  •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원인은 뚜렷하진 않으나 피로와 소화장애가 겹쳐 나타난 증상으로 생각됩니다.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물을 자주 마시며 당분간 소화가 잘되는 부드러운 음식 위주로 식사하고 이상 증상이 지속된다면 진료와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정현 의사입니다.

    여행 후 피로, 구토, 두통 등은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증상입니다. 식습관 변화, 스트레스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심박수가 정상이라면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하지만 지속적인 흉통이 있다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불안 장애로 인해 증상을 과대 해석할 수 있으므로, 객관적인 판단이 중요합니다.

    충분한 휴식과 수면를 취하시고, 규칙적인 식사와 수분 섭취를 하시며 가벼운 운동을 하고 스트레스 관리를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의사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여행 후 피로와 스트레스로 인한 증상으로 보입니다. 구토, 두통, 가슴 통증 등은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지만, 여행 후 피 로와 불안장애가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심박수가 정상이라는 점은 긍정적입니다.

    하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내과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가슴 통증이 심해지거나 호흡곤란이 동반된다면 즉시 응급실을 방문하세요.

    불안장애로 인한 걱정은 이해할 만하지만, 현재 상태만으로는 심각한 상황은 아닌 것 같습니다. 충분한 휴식, 규칙적인 식사, 수분 섭취를 유지하시고, 심호흡 등의 이완 기법을 시도해 보세요.

    지속적인 불안감 관리를 위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상담을 고려해 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궁금증이 해소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스트레스나 긴장으로 인해 소화기 계통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는 장 운동을 변화시켜 복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식사 습관도 고려해봐야 합니다. 최근에 먹은 음식 중에 소화가 잘 되지 않는 음식이 있었거나 과식을 했을 경우에도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음식 알레르기나 과민성 대장 증후군도 원인일 수 있습니다.

    물을 충분히 마시고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면서 며칠간 증상을 지켜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해진다면 병원을 방문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