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거래에는 어떤 수수료들이 반영되나요?
이번에 한 증권사에서 이벤트로 주식 거래에 들어가는 유관 수수료까지 모두 0%라서 이슈더군요. 그런데 주식 거래에는 어떤 수수료들이 반영되나요?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은 거래소에 지불하는 거래수수료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쉽게 말해 사이트 이용료 등으로 생각하시면 좋은데요.
살때 한번 팔때 한번 지불하니 굉장히 큰 금액을 지불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거래에서는 증권사 수수료,
거래세[, 증권거래세 등이 반영이 됩니다.
이벤트로 수수료가 0%인 경우 이런 비용들이 면제되는 것입니다.
주식 거래 시 반영되는 수수료는 크게 위탁매매 수수료와 거래세가 있습니다.
위택매매 수수료는 주식 거래를 할 때 증권사가 고객으로 받는 수수료로 거래 금액에 따라 일정 비율로 부과하며, 증권사바다 수수료율이 다릅니다.
또 위탁매매 수수료에는 유관기관 제비용이 포함되는데 한국거래소, 예탁결제원 등 유관기관에 지불하는 수수료가 있습니다.
거래세는 주식을 매도할 때 국가에 낸느 세금입니다. 매도금액의 0.23%가 부과됩니다.
주식을 매수할 때는 거래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증권사에서 진행하는 이벤트로는 유관기관 수수료는 제외하고 위탁매매수수료를 면제하거나 할인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거래를 할 때는 다양한 수수료와 세금이 발생합니다.
증권사 수수료
증권사 수수료는 투자자가 주식을 매매할 때 증권사에 지급하는 비용입니다.
이는 거래 금액의 일정 비율로 부과되며, 각 증권사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특히 모바일 앱이나 인터넷을 통해 거래하면 오프라인보다 저렴하거나 무료 이벤트를 통해 면제 받을 수도 있습니다.
유관기관 수수료
유관기관 수수료는 증권사와 연결된 한국거래소나 예탁결제원 같은 기관에 지급되는 비용입니다.
유관기관 수수료는 증권사와 관계없이 의무적으로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거래 금액의 약 0.00364%수준입니다.
거래세
거래세는 주식을 매도할 때 발생하는 세금으로, 국세청에서 부과합니다.
매수 시에는 부과되지 않으며,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도 매도 금액의 0.15%, 장외시장에서는 0.35%가 부과됩니다. 거래세는 법적으로 면제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거래시에 발생하는 수수료는 보통 매매 수수료를 말합니다. 여기에 경우에 따라 유관기관 수수료나 금액에 따라서 양도소득세가 발생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