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보험 근로자 부담 비율이 얼마인가요?
제가 만 17세인데 카페에서 첫 알바를 하는데 주말에 9시 부터 17시까지 일해서 4대보험을 해야한다고 하시는데 시급 11000원 받는데 제가 부담하는 비율이 어느정도일까요? 사장님께서 몇프로 부담하신다고 말하시지 않아서 잘 모르겠어서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호 세무사입니다.
우선 4대보험 공단 쪽에 한달 동안 보수월액을 얼마로 신고하는지 확인하시면 4대보험을 얼마로 떼는지 확인이 가능해보이며, 그 보수월액 확인하여서 세후월급계산기 등을 검색해보시면 얼마를 떼는지 확인이 가능하실 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연세무회계사무소의 이용연 대표세무사 입니다.
개인이 근로자로서 사업자에게 근로용역을 제공하는 경우 근로자가 부담해야
하는 4대보험료 요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국민연금보험료 : 급여액 등의 9.0% (=회사부담분 4.5% + 근로자부담분 4.5%)
2) 국민건강보험료 : 급여액 등의 7.09%(=회사부담분 3.545% + 근로자부담붐 3.545%)
3) 노인장기요양보험료 : 급여액 등의 0.91%(=회사부담분 0.455% + 근로자부담분 0.455%)
4) 고용보험료 : 급여액 등의 1.8$% + a(=회사부담분 0.9% + a, 근로자부담분 0.9%)
답변이 도움이 된 경우 "좋아요 + 추천"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4대보험중 국민연금은 4.5%, 건강보험은 약 3.6%, 고용보험은 약 0.8%가 부과됩니다. 포털사이트에 4대보험율이라고 검색해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