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기록이 있는 경우에 실비 보험 가입
정신과를 다녀서 f코드가 있는데요 병원 방문을 5년간 중단하면 일반 실비 보험에 가입할 수 있다고 해서요
사실인지 여쭤보고 싶어요 그리고 f코드가 있는 상태에서 비급여로 약물을 처방 받거나 정신과 상담을 받으면 보험 가입에 불리한지, 정신과에 가지 않고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상담을 받는 건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민욱 보험전문가입니다.
실비가입시 정신과 병력이 잡히는 부분은
3개월 이내 병원력
5년이내 7회이상 치료
5년이내 30일이상 투약
이렇게 3가지를 꼽습니다.
힘들어서 한번 갔다왔다면 3개월만 지나면 상관이 없지만
아래 2개에 해당한다면
상태가 양호하다는 소견서를 받고 힘들게 가입하거나,
5년이 지나는걸 기다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급여, 비급여 이런 내용과는 별개로
위에 말씀드린 3가지 조건, 그중에 아래 2가지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것이
좋죠.
이미 해당된다면
실비가 없이 5년을 버티는건 무모하기 때문에
약처방을 보지않는 '유병자' 실손보험으로 가입해두시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지연 손해사정사입니다.
음 현재판매하고 있는 실손의료비는 정신과치료시 급여항목 보상가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참고]
https://www.a-ha.io/experts/columns/442e956d713436709019b9160d31eb5f
1명 평가안녕하세요. 채정식 보험전문가입니다.
F코드 진료가 있으시다면 실손보험 심사가 까다로워지지만 진단 후 5년 간 병원 방문, 치료 기록이 없다면 보험 가입이 가능합니다 정신건강복지센터의 단순 심리상담은 보험 가입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실비보험에 가입할 때에는 3개월내 1년내 5년내 고지해야 할 사항들이 있는데요. 정신과를 3개월 내에 다녔다는 진단 기록 코드가 있으면 가입이 거절될 수도 있습니다. 다만 5년동안 병원방문을 중단했다고 해서 무조건 가입이 가능한 것은 아니고 보험회사마다 심사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가입이 된다, 안된다고 딱 잘라 말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보험회사 인수 심사에서는 과거 진료기록을 확인해서 위험도를 평가하는데요. 정신과 코드가 있으면 가입거절, 특정 담보 제외, 보험료 할증 등의 불이익이 있습니다. 5년 동안 치료 및 투약기록이 없다면 가입에 긍정적일 수 있겠지만 이는 단언할 것은 아니고요. 비급여의 경우에는 국민건강보험 관리공단 기록에는 없지만 해당 병원 기록에는 남게 되기 때문인 것도 있고요. 일단 5곳 정도 보험회사에서 가입심사를 받아보시고 결정하시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우 보험전문가입니다.
정신건강의학과은 2년만 미방문해도 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 보험사에서 5년은 암진단여부만 물어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정신건강의학이 질병/상해가 아니기 때문에 심사를 보셔도 되십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