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용어

아이언캐슬
아이언캐슬

그래샴의 법칙이란 정확하게 무슨뜻인가요?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라는 그래샴의 법칙이라는게 있다고 하던데요, 그런데 그래샴의 법칙이라는것이 정확하게 무슨뜻인가요?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라는 말이 무슨말인지 이해가 안되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래 설명을 참고해 보세요.

    서로 대등한 액면 가치를 갖는 재화 A와 B가 있다고 하자. A는 순수 금화이고 B는 합금으로 된 저질 주화라고 한다면, B의 소재 가치는 A보다 훨씬 낮고, 당연히 B의 생산 원가도 A보다도 훨씬 싸다. 그러면 사람들은 남에게 지불할 때는 B를 이용하고 실질적인 가치가 높은 A는 자기가 보관하려고 할 것이므로,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시장에서 양화인 A는 사라져 가고 악화인 B만 통용된다.

    즉, 화폐로서의 가치는 똑같이 정해 놓았으나 재물로서의 실질적 가치가 다른 두 재화가 있다면 사람들은 실질적 가치가 더 높은 재화(양화)를 보관, 저축하고, 실질적 가치는 낮지만 액면가는 같은 재화(악화)를 밖에서 사용하게 될 것이므로, 시중에서 유통되는 악화(화폐로의 가치>재물로의 가치)의 양이 늘어나고 양화(재물로의 가치>화폐로의 가치)는 점차 시중에서 그 모습을 감춘다. 이에 시중에서 돌아다니는 악화가 많아져 양화의 양이 적어지니 악화가 양화를 몰아내게 된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그레셤의 법칙은 소재의 가치가 서로 다른 화폐가 동일한 명목가치를 가진 화폐로 통용되면, 소재가치가 높은 화폐(Good Money)는 유통시장에서 사라지고 소재가치가 낮은 화폐(Bad Money)만 유통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그레샴의 법칙은 화폐의 액면 가치와 실질적 가치에 괴리가 생길 경우에 실질적 가치가 높은 통화가 시장에서 축출되고 실질적 가치가 낮은 화폐가 통용된다는 법칙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학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그래샴 법칙은 영국에서 화폐가 너무 낡아서 금이 덜 들어간 신화폐를 발행하였는데 금 함유량이 높은 구 화폐는 사용하지 않고 신화폐 유통이 늘어나더니 구 화폐를 대체하게 되었는데 이것을 악화가 양화를 구축했다라고 이야기를 한 것입니다.

    즉 새로운 것(기존보다 안 좋음-악화)이 기존 것(양화)을 대체해 버린다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