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길동전을 집필한 허균은 무슨 역모로 능지처참을 당했나요?
홍길동전을 집필한 허균은 처형방법중 아주 무섭다는 능지형을 당했다고 하던데
능지처참까지 당하게 된 이유가 뭔가요? 역모를 꾸몄다고 한게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홍길동전을 집필한 허균이 능지처참 당한 이유가 무엇인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1618년 기준격이 상소를 올려 허균이 왕의 신임을 얻은 것을 기화로 반란을 계획한다고 모함하고,
허균이 반대 상소를 올렸으나 허균에게는 계속 국문이 열렸고 그때마다 무수한 고문이 가해졌습니다.
결국 허균과 기준격을 대질 심문시킨 끝에 역적모의를 하였다고 응하게 되고, 그의 심복들과 함께 능지처참형을 당해 생을 마감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허균은 반역죄로 능지처참형을 받았습니다. 허균은 광해군 9년(1617) 대북파에 속하여 인목대비 폐모론을 주장하였습니다. 그러나 폐모를 반대하던 영의정 기자헌과 사이가 벌어졌고, 오히려 길주로 유배를 가게 되었습니다. 허균과 기준격 사이에 고발과 탄핵 정국으로 돌변하게 됩니다.
그런데 1618년 8월 남대문에 격문이 붙는 사건이 일어났고 허균의 심복 현응민이 붇였다는 것이 탄로났습니다. 허균과 기준격의 대질 신문 끝에 역적모의자로 몰려 고문과 심문을 거쳐 1618년 8월 24일 능지처참형을 받았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618년 8월 24일 광해군 재위 10년 8월 허균이 능지처참을 당했습니다. 허균의 죄는 세상의 윤리는 어지럽히고 음란하게 굴어 인간으로서 도리가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죄목은 역모였습니다. 허균에게는 변론의 기회조차없이 일사천리로 진행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능지처참은 능치모 (能之謀)라고도 불리며, 권력자에 대한 반항이나 비판적인 글을 쓰거나 행동하는 것을 이유로 처형당하는 형벌입니다. 허균은 조선시대 정치적인 변동과 문화적인 환경 변화 속에서 일종의 반체제적인 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능지처참을 당하게 됩니다. 허균은 당대의 모순을 치열하게 인식하며 지배 계급으로부터 버림 받았으나 400년이 흐른뒤 공화제 사회에서 비로소 복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