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전기에 감전된 이후 가장 위험한 것은 심장의 전기적 신호에 영향을 주는 것인데 두근거리거나 가슴이 아픈 증상은 없다고 하니 다행입니다. 하지만 팔이 아프고 저리면서 힘이 잘 들어가지 않는 증상이 지속되는 것은 이상 소견입니다. 일시적으로 지나가는 증상일 가능성도 있지만 이틀간 증상이 지속된다면 신경과에 방문하시어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보입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스파크가 튀는등 감전이 있다면 가장 문제되는 경우는 심장을 통해 심장기능에 영향을 주는 경우입니다. 그 외에는 국소적인 화상등이 있습니다. 겉보기와 달리 스파크만 튀고 전류는 몸을 통하지 않고 주변으로 새어 나가버리는 경우 주관적인 증상이 없다면 차후에 병원을 방문해도 시행할 수 있는 검사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큰 불편이나 통증이 없다면 일상생활도 가능합니다. 신경학적 증상이 있다면 진료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홍덕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내과 방문을 권합니다.
고압 전기 화상에서는 24-48시간 정도의 금식 기간을 갖는 것이 권장됩니다.
감전은 우리 몸에 일시적으로 높은 전류가 흐르는 상황입니다.
감전이 되면, 신경계, 심장계, 호흡계가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조혈계, 비뇨계, 근골격계도 감전에서 자유롭지 못 합니다.
전신의 장기 기능에 대한 평가를 받는게 일반적인 지침입니다.
하지만 현재 신경계, 근골격계 (근육 움직임, 정신 상태), 심장계/호흡계 (숨 쉬기) 증상이 뚜렷이 없다면, 혈액검사 (CBC, CK-MB, Creatinine)를 통해서 조혈기능과 근육 손상 정도만 확인하셔도 도움이 될 듯 합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