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팬치나 고릴라는 더 진화하면 직립보행을 인간처럼 할수 있을까요?
현재 인간만이 유일한 제대로된 직립보행을 하고있는데요
침팬치나 고릴라도 유사점이 많은 종이기에 차후에 진화를 통해 인간처럼 걸어다닐수 있을까요?
아님 그들은 오래도록 지금의 상태로 진화했기에 인간처럼 걷기에는 확률적으로 희박한가요?
안녕하세요. 인류와 유인원을 분류하는 기준은 두발로 걷는 '이족보행' 여부이며, 인류학자들은 처음으로 두발로 걷기 시작한 종을 ‘최초의 인류’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인간과 침팬치, 고릴라 사이의 해부학적 차이는 직립보행에 있어 중요한 요소입니다. 인간은 직립보행을 위해 특화된 여러 가지 해부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선 인간의 골반은 짧고 넓어 직립보행에 적합한 반면 침팬치와 고릴라의 골반은 길고 좁아 네발로 걷는 데 더 적합합니다. 또한 인간의 척추는 S자 곡선을 가지고 있어 직립 자세에서 몸의 무게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킵니다. 침팬치와 고릴라의 척추는 C자 곡선을 가지고 있어 네발 보행에 적합합니다. 마지막으로 인간의 발은 아치 구조를 가지고 있어 체중을 지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침팬치와 고릴라의 발은 나무를 타기 위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침팬지나 고릴라가 인간처럼 완전한 직립보행을 하게 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진화는 특정 방향으로 '진보'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에 가장 잘 적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집니다. 인간의 직립보행은 수백만 년에 걸친 특수한 환경 적응의 결과이며, 현재 침팬지와 고릴라는 그들의 생태적 지위에 잘 적응된 상태입니다. 그들의 신체 구조, 특히 골반과 척추, 다리의 구조는 현재의 생활 방식에 최적화되어 있어 완전한 직립보행으로의 진화는 현재의 환경에서 이점이 없습니다. 또한, 인위적인 선택 압력이 없는 한, 자연 상태에서 이러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은 극히 희박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침팬치나 고릴라가 직립보행을 인간처럼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은 낮습니다. 인간의 직립보행은 수백만 년에 걸쳐 진화한 결과이며, 인간의 해부학적 특성과 뇌 구조, 근육 구조 등이 직립보행을 가능케 합니다.
침팬치와 고릴라는 네발보행 동물로서 전체적인 구조와 해부학적 특성이 직립보행을 지원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두 종 모두 전발로 지면을 걷는 것이 자연스럽고 효율적인 방식이며, 직립보행을 하려면 많은 변화와 적응이 필요합니다.
또한, 직립보행은 뇌의 발달과 함께 진화한 것이기 때문에 침팬치나 고릴라가 직립보행을 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상당히 어려운 일일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우선 침팬지나 고릴라는 사람에 비해서는 골반이 더 길고 좁기때문에 직립보행자체가 비효율적입니다.
또한 척추자체가 사람은 S자 형태로 굴곡이 있기때문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몸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지만,
침팬지나 고릴라의 척추는 C자 형태로 굴곡이 적고 직립보행시 허리에 무리가 많이 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신체구조적인 진화가 이루어져야만 사람처럼 직립보행을 할 이유가 발생합니다.
물론 사람은 두 손과 도구의 이용이 활발하고 활용가능성이 매우 많아지면서 고통을 무릅쓰고 직립보행을 할 이유가 생기고 이에 적응하고 진화해나가면서 현재처럼 직립보행을 하게 되었습니다.침팬지나 고릴라도 사람처럼 두손과 도구를 사용할 이유가 만들어지고 환경이 조성된다면 진화 가능성이 있겠지만,
현재는 인간이 거의 모든 생활사회를 장악하고 있기때문에 이러한 진화의 필요성 자체가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우선 인간과 침팬지, 고릴라가 공통조상에서부터 각각 분화해왔고 각각 생태적 환경에 맞게 진화해온 형태이기때문에
더더욱 진화가 어렵다고 볼 수 있고, 사람이 없다해도 직립보행을 할 수있도록 진화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하는 학자도 존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