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신박한까마귀
신박한까마귀

인간의 수명이 점차늘어나고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는데 최대얼마까지 늘어날것같나요?

안녕하세요 온화한돌고래유니파파입니다

인간의 수명이 점차 늘어나고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는데 최대얼마까지 늘어날것같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현재 연구들에의하면 최대 115~120세정도가 마지노선이라고 합니다.

    유전적인 한계와 생명연장기술의 한계가 존재하기때문에 계속해서 수명이 늘어날수는 없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현재 인간의 평균수명은 약 80~90세인데, 계속 이와같은추세로 평균수명이 늘어나면 2000년대생 이후부터는 100세까지도 살 수 있을것이라고합니다.

    물론 신체적으로 영원히 늘어날수는 없겠지만, 아직한계에는 도달하지 않은것이죠.

    과학적으로보면 최대 130~140살까지도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이는 전문가는 연구 기관 마다 차이가 있는데요

    제 개인 적인 생각으로는

    현재 나이 20대 기준으로 아마 120~130대가 기대 수명이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 사실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와 미래 전망을 종합해 보면, 인간의 최대 수명을 알기는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수명 연장은 단순히 의학 기술의 발전뿐만 아니라, 유전적 요인, 환경, 생활습관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먼저 의학 기술의 발전으로 질병 치료 기술의 발전, 노화 방지 약물 개발, 맞춤형 의료 등은 수명 연장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유전자 편집 기술을 통해 유전병 치료, 노화 관련 유전자 조작 등을 통해 질병 발생 가능성을 낮추고 건강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깨끗한 환경과 건강한 식단, 충분한 수면 등 건강한 생활 습관은 수명 연장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인간의 몸은 유한한 자원을 가지고 있으며, 노화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수명 연장 기술의 남용으로 인한 사회적 불평등, 인구 과잉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만으로는 인간 수명의 최대치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분명 과학 기술의 발전 속도를 감안할 때, 앞으로 인간의 수명은 더욱 연장될 가능성이 높은 것은 사실입니다.

  • 현재 연구에 따르면 인간의 수명은 120세 전후를 생물학적 한계로 보는 의견이 많지만, 의학 기술과 유전자 연구의 발전에 따라 150세까지도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다만 이는 질병 예방, 건강 관리, 사회적 요인의 개선이 뒷받침되어야 실현 가능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