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성실한따오기76
성실한따오기76

경제지표 중에서 생활물가지수란 어떤 것인지?

다양한 경제 상황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면 뉴스 소식도 중요하지만 그에 따라서 경제와 관련된 지표들을 보는 것도 도움이 된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찾아보던 중 생활물가지수라는 것이 있던데 이 생활물가지수 의미와 어떤 식으로 계산되는 것인지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 소비자들이 일상생활에서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한 지표입니다. 이 지표는 물가 상승률을 계산하고, 사람들이 생활하는 데 드는 비용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생활물가지수는 소비자들이 자주 구매하는 기본 생필품의 가격 변동을 반영한 지표입니다. 통계청은 1998년부터 일반 소비자들이 자주 구입하는 품목과 필수품목을 대상으로 이 지수를 개발하여 발표하고 있습니다. 생활물가지수는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물가를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해, 두부, 쌀, 돼지고기 등 141개 품목의 가격 변동을 가중 평균하여 산출됩니다.

    이 지수는 소비자 물가지수(cpi)와 유사하지만, 특정 품목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 빈도를 고려하여 보다 실질적인 생활비 변화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생활물가지수는 경제 정책 수립 및 소비자 행동 분석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물가 상승이 가계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보여줍니다.

    생활물가지수의 계산은 각 품목의 가격을 기준 시점과 비교하여 지수를 작성하고, 이를 통해 전반적인 물가 수준의 변화를 파악합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생활물가지수는 경제 상황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특정 기간 동안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경제 지표입니다. 이는 일반 가정이 소비하는 품목의 가격 변화를 반영하여,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생활물가지수는 특정 기준 연도를 설정하고, 그 해의 가격을 100으로 기준 삼아 다른 연도의 가격 변화를 비교합니다. 예를 들어, CPI가 110이라면, 기준 연도에 비해 물가가 10% 상승한 것을 의미합니다.

  • 생활물가지수는 소비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이는 소비자물가지수의 보조지표 중 하나로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반적인 물가 수준을 나타낸다면 생활물가지수는 서민들의 체감 물가를 보다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생활물가지수는 국민들이 생활하는 데 필요하고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따로 퍼센테이지를 계산하는게 아니라 물가에 대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계산법은 없고,

    통계청에 의하면 가장 많이 구매하는 필수적인 품목 141개 품목(라면, 쌀, 계란 등)에 대한 물가를 계속 비교하여 지수로 나타내는 것으로 알고 계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생활물가지수는 소비자들이 일상적으로 자주 구매하는 생활필수품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이는 소비자물가지수(CPI)의 보조 지표로서, 소비자들이 실제로 체감하는 물가 변동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생활물가지수는 쌀, 배추, 라면, 두부 등 기본 생활필수품과 과일, 세제 등 분기마다 한 번 이상 구입하는 품목, 기성복, 운동화, 학비 등 가격 변동에 민감한 품목 등 총 152개 생활필수품을 선정하여 이들의 평균적인 가격 변동을 지수화한 것입니다.

    이 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와 달리 품목을 가중치 없이 단순 평균하여 계산됩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실제로 느끼는 물가 변동을 보다 직접적으로 반영하기 위함입니다. 생활물가지수 가운데 가공식품을 제외한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위주로 구성된 지수를 신선식품지수라고 합니다.

    생활물가지수는 소비자들의 체감 물가를 파악하고, 경제 정책 수립 시 참고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이를 통해 정부와 경제 기관은 소비자들의 실제 생활비 변동을 모니터링하고, 인플레이션 등의 경제 현상을 평가하며, 적절한 경제 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