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가 스탠드를 1개 박으셨는데, 숨을 엄청 헐떡거리고 잘 쉬지 못하시는 상황이 발생을 했어요. 이건 어떤 증상인건가요?
안녕하세요~
[아버지 상황]
밥을 먹을 때도 그렇고 절을 하는 움직임을 할 때도 숨이 크게 찰 정도로 헉헉 거리셔서 병원을 가심
담배는 40년간 하셨고, 운동을 한 적이 없으심, 술은 안드심, 당뇨 지병으로 있으심
병원에서 스탠드 3개를 박자고 하심
병원에서 스탠드 1개를 박았는데 갑자기 아버지가 숨을 엄청 거칠게 헉헉 거리면서 쉬시길래 병원에서 인공호흡기를 설치해서 심장계 중환자실로 이동
지금은 인공호흡기 떼고 나아졌는데, 병원에서는 2개 더 스탠드를 박아야 되는데 안정되는거 보고 진행(1개는 10일에 했고, 12일 예정)
근데 혈관 1개가 안보인다고 함
현재 상황이 이렇습니다.
여기서 궁금한것이
1.원래 스탠드를 박으면 사람이 호흡이 힘들정도로 힘든경우가 발생이 되는건가요??
2.병원에서 혈관 1개가 안보인다고 하는데 혈관이 안보이는 이유가 뭔가요??
3.혈관이 안보이면 스탠드 3개를 박아야 되는데 그럼 2개밖에 못 밖는건지, 혈관을 찾아낼 수 있는 병원에서 어떤 조치를 해야되는게 맞는건가요?
아버지 문제라 정말 시급하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의사님들의 진실한 답변주시면 대단히 감사 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스탠트 시술 이후에는 일반적으로 혈류가 개선되어 호흡이 개선되는 경우가 많지만, 기존에 발생한 기저질환이나 심장의 기능이 저하된 경우에는 호흡이 가빠지는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있는 경우, 해부학적인 변이가 발생하거나 혈관의 위치가 복잡한 경우에는 혈관의 위치 파악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는, 혈관의 상태가 좋지 않거나 석회화가 진행된 경우에도 혈관을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혈관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추가적인 시술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는데요, 이런 경우에는 혈관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추가적인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스텐트 시술 후 심한 호흡곤란이 생기는 것은 흔하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스텐트 시술 과정에서 혈관이 일시적으로 경련이 발생하거나 혈류가 불안정하면 그러실 수 있고, 혈압이 급격히 변하면서 심장에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지 못하면서 호흡곤란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또한 흡연을 40년 동안 하셨고, 운동 부족 및 당뇨병이 있으셨다면 심장 기능이 약화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드물지만 스텐트 시술 중 미세한 혈전이 흘러가서 작은 혈관을 막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 호흡곤란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현재 상태가 호전되고 있다면 다행이지만 혹시라도 다른 증상이 나타나신다면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병원에서 혈관이 1개가 안보인다고 말한 것은 혈관이 완전히 막혀서 조영제가 들어가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혈관이 오랫동안 완전이 막혀 있으면 조영제가 통과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혈관이 너무 가늘거나 경련을 일으켜 일시적으로 안보일 수도 있습니다.
혈관이 안보이면 아무래도 스텐트 시술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더 정밀한 영상기법을 통해 혈관 내부를 확인후 시술이 가능하고 스텐트술이 어렵다면 관상동맥 우회술이라는 수술 방법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스탠드를 박은 후 호흡이 힘들어지는 경우는 드물지만 심혈관계의 문제나 심장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관이 안보이는 이유는 동맥의 경화, 좁아짐, 또는 해부학적 변형 등으로 인해 혈관이 잘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혈관이 안보인다면 추가적인 검사나 영상 촬여을 통해 혈관을 찾아내야 하며 필요시 다른 병원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스탠드를 추가로 박기 위해서는 안정된 상태에서 혈관을 확인한 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고
아버지의 상태가 심각하므로 담당 의사와 긴밀히 소통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아버지께서 스탠트를 삽입하신 후 숨을 힘들어하신다니 걱정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스탠트 시술 후 호흡 곤란이 발생하는 경우 몇 가지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먼저, 시술 부위의 협착으로 인해 혈류가 불충분하게 공급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시술 이후 혈전 형성이나 부정맥 등의 합병증이 발생했는지도 고려해야 합니다. 드물게는 시술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을 수도 있지만, 다른 심장 관련 문제가 동반되었거나 기존의 문제로 인해 나타난 증상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가능한 한 빨리 병원을 방문하여 필요한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료진에게 현재의 증상과 시술 후 경과를 상세히 알려주십시오. 추가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대응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원래 가지신 질환이 악화된 것으로 보입니다.
동맥경화가 심하면 관상동맥이 좁아지는 것이 아니라 완전히 막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스텐트를 설치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수술을 고려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