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24.02.26

지구 온난화가 진행될수록 나무도 이산화탄소를 내뿜는다는 게 사실인가요?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 하고 깨끗한 산소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그런데 지구가 뜨거워지면 이와 반대로 이산화탄소를 만들어낸다고 하더라구요. 이게 사실인가요? 왜 그런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무는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만들어내는 광합성을 통해 지구 온난화를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이와 반대로 이산화탄소를 방출하기도 합니다. 나무는 온도가 높아지면 호흡 속도가 증가합니다. 호흡은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과정입니다. 만약 온도가 40°C 이상으로 높아지면 광합성 속도보다 호흡 속도가 더 빨라져 이산화탄소를 순 방출하게 됩니다. 또한 가뭄으로 인해 나무가 물을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면 광합성이 저하됩니다. 광합성이 저하되면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감소하고, 이는 이산화탄소 순 방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구 온난화가 심화되면 높은 온도, 가뭄, 산불 등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나무의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을 감소시키고 순 방출을 증가시켜 지구 온난화를 더욱 악화시키는 악순환을 만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무는 광합성 과정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깨끗한 산소를 만들어내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지구가 뜨거워지면 이와 반대로 이산화탄소를 만들어내는 것은 사실입니다. 이는 나무가 산소를 만들기 위해 광합성 과정을 진행할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이를 '호흡'이라고 합니다.

    지구 온난화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온실가스가 증가하는 것이 원인입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면 나무도 호흡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내뿜게 됩니다. 이는 지구 온난화가 진행될수록 나무도 이산화탄소를 내뿜는다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는 나무가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나무는 지구 온난화를 완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나무가 흡수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더 많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무는 낮에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광합성을 하여 산소를 만들어 내지만 밤이되면 광합성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