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가 뇌경색이 왔는데 혈전용해제를 사용했더니 뇌출혈이 생겨서 중단했습니다.왜 그런지요?
아버지가 뇌경색이 와서 뇌혈관을 막았는데 너무 단단해서 손을 쓸수 없어 혈전 용해제를 투여했다고 합니다.
오늘 면회시간에 혈전용해제가 뇌출혈을 일으켜 중단했대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혈전용해제를 중단하지 않으면 뇌출혈이 멈추지 않고 더 심해지기 때문입니다
그럴 경우 사태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혈전용해제는 피가 떡이되어서 생긴 혈전을 녹이는데 사용될 수 있는 약물입니다. 그렇지만 그로 인하여 피가 묽어지고 지혈이 잘 되지 않게 되면서 반대로 출혈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존재합니다. 혈전용해제 약물의 부작용입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혈전용해(thrombolysis) 치료
혈전용해제는 혈관을 막고 있는 혈전이나 색전을 녹일 수 있는 약제를 말합니다. 응고된 피(피떡, 혈전)를 녹이게 되므로 뇌경색으로 막힌 혈관을 뚫는데 도움이 되나 대신 출혈 발생 가능성이라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이 약제를 사용하게 되면 무엇보다도 뇌출혈의 발생 위험이 높아지게 됩니다. 하지만 주요 급성뇌혈관폐색을 그냥 둘 경우 사망 가능성이 매우 높고 장애 발생이 심각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대개 10%)의 뇌출혈 발생 위험성을 감수하고서라도, 의료진 상의하에 재개통 치료를 시행하게 되는 것입니다.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뇌경색(혈관 막힘)이 있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경색을 막기 위해 (혹은 재개통을 목적으로)
혈전 용해제를 사용하는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경우 , 소량의 출혈도 지혈이 잘 안 되는 경우가 많아서... 신경을 많이 쓰고요.
안녕하세요.
뇌경색은 뇌로 가는 혈관이 막힌 겁니다.
혈관을 스텐트등으로 뚫는 것은 항상 성공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
피가 응고되지 않도록 혈전용해제등을 추가 치료로 이용합니다.
다만 이 경우 피가 안멎게 되므로 출혈이 생겼을 때 지혈이 되지 않아 출혈에 위험하게 됩니다.
따라서 혈전 용해제 이후 뇌출혈등이 발생할 수 있고 뇌출혈 외에도 몸에 어디서든 출혈이 발생할 위험성이 증가하게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