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최근 MZ세대 사이에 명품구매율이 늘었다고 하던데, 이런 베블런효과가 발생되는 이유는 뭔가요?

저도 명품백이 2개정도는 있습니다만, 경제 상황이 좋을 때 구입했거나

선물을 받은 것이지 가격이 오르는데 굳이 비싼 돈을 지불하고 사게 되지는

않은 거 같은데요. 일종의 과시욕인지 젊은 세대에서는 그러한 현상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처럼 가격이 올라가는데도 불구하고 특정 계층의 명품 소비가 늘어나는 이유가 뭔가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베블런 효과는 비쌀 수록 구매가 더 높아지는 원리인데 대체로 아시아가 더 크고 특히 우리나라가 크게 적용 받고 있다는 명품 업체들의 인터뷰를 봤습니다. 씁슬하지만 명품 소비가 많은 이유는 단순히 우리나라가 부자여서 그런 게 아니라 과시하는 소비 문화와 더불어 타인과의 비교 그리고 절망적인 경제가 맞물려 복합적으로 작용한 게 아닐까 싶습니다. 실제로 경제전문가나 심리전문가들도 유사한 답변을 했는데요 예를 들어 취직도 안 되고 힘든 삶을 살면서 자존감이 낮을수록 명품을 구매함으로서 자신의 자존감이 높아지길 바라는 착각이 생긴다고 합니다 그래서 자꾸 명품에 집착하는거죠 자존감이 낮다보니 명품으로서 자신을 치장하는 걸 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특정 브랜드는 오히려 한국만 가격을 계속 올린다는 인터뷰도 있어 씁쓸했는데요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스트레스와 절망 자존감 결여 타인과의 비교 허례의식 등등 다양하게 복합적으로 작용했고 현재를 즐기자는 욜로족이나 플렉스 같은 영향도 있으리라 보여집니다 명품을 하나 구매해서 오래 쓰는 경우도 있어 개인의 취향일 뿐 꼭 나쁘다고 비난 할 수 있는 것도 아닌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말 다양한 개개인의 니즈가 있긴 하겠지만 일반적으로는 보여지는 것이 중요한 사회 때문이 제일 큰 것 같습니다. Sns 나 유튜브에서 명품 등을 많이 들고 나오는 모습을 보면서 사고 싶은 충동을 느끼는 경우가 많을 것 같습니다.

    또한, 집 등을 사기에는 가격이 너무 올라 젊은 층에서는 돈을 모으기 보단 원하는 곳에 소비하고 사는 인구가 늘어나는 것도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질문해주신 한국의 MZ 세대에서 베블런 효과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한국에서는 과도하게 SNS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많기에

    SNS에 비치는 것이 전부인줄 알고 그것에 몰두하는 사람들이 많고

    그것을 위해서 과감하게 명품 소비를 하기도 합니다.

  • 첫째로, 소셜미디어를 통해 자신의 삶을 공유하고 자아실현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어 명품을 소비하여 사회적 지위나 성취감을 표현하려는 경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둘째로, MZ세대는 환경보호와 지속가능한 소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명품의 품질과 지속가능성을 중요시하여 명품을 선호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일단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1인당 명품소비량이 가장 많은 나라입니다. 그만큼 남들 눈치보거나 남들에게 보이는 모습을 중요시하는 습관이 있습니다. 이거는 예전부터 있었는데 특히 SNS가 활성화되서면 더 그런 현상이 짙어졌습니다.

    명품소비량과 SNS활용정도가 어느정도 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대만과 우리나라가 SNS많이 하는데 명품소비량도 높습니다.

    그래서 SNS많이 하는mz세대들이 비교문화가 많이 심화되면서 티클모아봤지 티클이다, 결혼포기, 연애포기, 인생포기 등 의 사고방식도 많아졌습니다. 이게 미래는 어차피 불투명하니 지금 소비해서 행복을 얻고 남들처럼 잘나가게 보이고 싶어하게 돼가는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 부분은 생각이 다를 수 있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SNS의 영향이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사람들이에 자신의 일상보다 가장 즐거운 순간 가장 화려한 순간을 사진 찍어 올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런데 젊은 세대들은 SNS에 노출이 많이 되다? 보니? 타인의 가장 화려하고 소비가 많은 순간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이러한 것을 접하다 보면 나만 뒤처지는 것 아닌가 나만 덜 쓰고 사는 것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게 되고 이런 것이 타인에게 뽐내기 위해서 구매하는 배블렌 효과를 더욱 크게 불러오는 것 아닌가 생각합니다

  • ✅️ 베블런 효과가 나타나는 이유는 '지금 안사면 나중에는 가격이 더 올라서 못산다.' 라는 심리가 지배하는 결과이며, 이런 인간 본연의 심리적 현상으로 인해 가격이 올라가도 명품 소비가 늘어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 아무래도 요새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SNS의 과시효과로 생각됩니다

    • 이전보다 쉽게 주변 또래들의 소비나 유행을 파악하기 쉬운데 여기서 명품제품들로

      치장하여 자랑하면 나는 더 좋은 소비를 통해 과시하고 싶은 욕구가 상승하는 결과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