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가 비행을 하면 기체의 동체가 결빙 되나요?
참으로 브라질에서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한것 같습니다. 항공기의 외부 동체가 얼어서 동체가 결빙 되었다고 하는데요. 기체 동체의 결빙사고는 자주 있나요?
항공기 동체가 비행중 결빙되는 현상은 주로 날개, 엔진 흡입구, 프로펠러 등 노출된 부분에서 발생하며 동체 전체가 결빙되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결빙은 주로 구름속의 과냉각 수분이 접촉해 얼음이 붙는 현상으로, 항공기의 안전과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칠수있습니다. 항공기는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빙 및 방빕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조종사들은 기상 조건을 주의깊게 모니터링합니다. 동체 결빙 사고는 빈번하지 않지만,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수있어 국제 항공 규정과 기술이 꾸준히 발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비행중 결빙 위험은 매우 신중하게 관리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비행기는 고도가 높은 상황에서 비행하기
실질적으로 항상 동체 결빙에 노출되는 상황입니다
결빙에 대하여
방빙장치와 결빙장치를 동시에 구비하고 있어 동체 결빙상태에 대해 대응합니다.
(방빙: 얼음형성을 방지 , 제빙 : 이미형성된 얼음 제거)
1, 얼음을 제거해야하는 부
윈드실
날개 전연부, 후연
엔진흡입
피토관(속도측정 기구)
2, 방빙 장치 형식 분류
열형 방빙 - 엔진의 고온,고압 압축공기를 이용
날개 결빙 방지장치 - 낼개 전연/ 후연에 분배
전기적 가열 방빙 - 피토관 , 윈드 쉴드
3, 방빙과 제빙의 방법 3가지
공기 이용
고무같은 재질을 비행중 부풀리고 줄이는 과정을 주기적시행으로 표면 얼음 깨뜨려 제거
전기 이용
날개, 꼬리날개, 로터블레이드 등 전단쪽 고무판 안쪽에 저항체 가열 통한 제거
일부항공기는 표면에 프로필렌글리콜/알코올 등 방빙제를 미세한 구멍으로 흐르게하여 녹임
NASA 개발법- 얼음공진주파수 상이함을 이용하여 전기로 예리한 충격파생성 얼음제거
배출공기 이용
엔진의 고온/고압 공기 배출로 방빙목적 위치 표면 안쪽에 통로를 흐르게 하여 방빙
날개선단,엔진흡입구, 비행센서 등 뜨거운공기 필요하는 곳에 사용-기상조건에 따라 자동
열작동 스위치가 ON 상태일 경우 열이조정되면서 표피를 연소시켜 날개 제빙에 사용
등으로 정리 가능하겠습니다.
이번 브라질 사고 경우
공기튜브 이용 제빙장치로 알려져있고, 그 부분이 고장으로 예상되긴하나
어떤 상황에서라도 조종사는 결빙에 따른 기능정지를 방지할 방법이 있고
고도저하에도 불구하고 조종사의 위험교신이 없었기에
꼭 결빙에 의한 상황이라고 단정짓기 힘든 상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결빙 자체는 상공의 높이가 올라갈 수록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벌어질 수 있는 현상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방지 하기 위해서 결빙 방지를 준비하게 되는데, 자주 있는 일은 아니지만 간혹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긴 하죠.
안녕하세요. 안다람 전문가입니다.
발생빈도
드물지만 여전히 중요한 안전문제이며
현대 항공기의 결빙 방지 시스템으로 감소중입니다.
위험성
공기역학적 특성 변화로 심각한 위험 초래
양력 감소 조종저하 가능
안전 개선
결빙 탐지 기술과방빙 시스템 지속 개선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항공기 기체의 동체 결빙은 주로 높은 고도에서 극저온의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신 항공기는 결빙을 방지하기 위해 난방 시스템과 제빙 장비를 갖추고 있어, 결빙 사고는 드물게 발생하죠. 브라질 사고는 극 예외적인 경우로, 일반적으로 항공기 안전 시스템이 잘 작동하여 이러한 문제를 예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