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반도체시장에서 어느정도인가요?
삼성전자는 반도체시장에서 D랩부분은 세계 1위로 알고 있는데 HBM분야와 파운드리쪽은 어느정도 수준인지 궁금해서 올려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HBM 반도체에 있어서 올해 삼성전자와 같은 경우에는
점유율이 42.4% 정도입니다.
파운드리에서는 삼성전자와 같은 경우
점유율이 약 11% 수준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HBM과 파운드리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파이는 적은 편입니다 그렇기에 레거시 반도체인
D렘으로 대표되는 기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D렘은 사이클을 너무 많이 타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반도체를 대체할 AI반도체의
생산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삼성전자의 D램 반도체 시장에서의 점유율에 대한 내용입니다.
삼성전자의 글로벌 D램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무려 45.5퍼센트에 이르고 있습니다.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셈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1. D램: 삼성전자는 D램 시장에서 세계 1위입니다. 시장 점유율은 약 40% 이상으로, 주요 경쟁자인 SK 하이닉스와 마이크론을 크게 앞서고 있습니다.
2. HBM : HBM 분야에서도 삼성전자는 선두주자 중 하나입니다. HBM2 및 HBM2E 제품을 통해 데이터 센터와 AI, 고성능 컴퓨팅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HBM 시장에서 약 30% 이상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3. 파운드리: 파운드리 부문에서는 삼성전자가 TSMC에 이어 2위입니다. 삼성전자는 5nm 및 7nm 공정 기술을 통해 고급 반도체 제조에 집중하고 있으며, 다양한 고객사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차세대 공정 기술 개발에 투자하고 있어, 향후 점유율 확대가 기대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HBM반도체도 D램 메모리반도체의 하나이며 D램메모리를 높게 쌓아올린 반도체이며 이로 인하여 후공정 패키지가 중요한 반도체라고 보시면됩니다.
그런데 삼성전자는 과거 HBM반도체의 투자를 잠시 접으면서 하이닉스에게 시장의 주도권을 빼았겼으며 이로 인하여 엔비디아의 HBM 반도체의 대다수를 공급하고 있으며 이 시장을 완전히 장악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재 삼성전자는 마이크론과 함께 경쟁중이며 최근에 HBM 차세대가 아닌 그 이 전세대를 엔비디아에게 공급을 하고 있는 상황이며 아직까지 차세대 공급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여전히 하이닉스가 12단 16단등 더 높은 단수를 빠르게 투자할것으로 기대되는 상황입니다.
파운드리 분야도 TSMC에게 시장점유율을 더욱 빼았기고 있으며 현재 삼성전자는 글로벌2위업체이지만 문제는 선단공정에서 TSMC에게 지속적으로 빼았기며 파운드리분야에서 진척이 전혀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재는 기존의 퀄컴도 TSMC로 빼았긴 흐름이며 현재 미국의 빅테크나 주요 IT업체들의 수주도 제대로 나오지 않는 선단공정에서 다소 문제가 보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거기다 최근 완공된 미국의 파운드리공장도 가동율이 매우 낮을정도로 유휴설비가 많은 상태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파운드리 분야는 TSMC가 약 60% 정도로 전세계에서 독보적인 1위를 차지합니다. 이에 반해, 삼성은 매해 13~14% 정도로 2위를 달리고 있으나, TSMC를 쫓기에는 매우 역부족입니다.
HBM의 경우 하이닉스가 53%, 삼성전자가 38%, 마이크론이 9% 정도로 삼성전자는 파운드리에 이어 HBM 분야도 2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시장에서 DRAM 부문에서는 여전히 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HBM과 파운드리 분야에서는 도전 과제가 있습니다.
HBM 시장에서 삼성은 SK하이닉스와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고 2024년에는 SK하이닉스의 시장 점유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로 12층 HBM3E를 개발하는 등 기술력을 강화하고 있지만 SK하이닉스의 경쟁력이 더 강해지는 추세입니다. 파운드리 부문에서는 최신 기술을 도입하며 성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시장에서 TSMC와의 격차를 좁히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HBM은 매우 복잡한 컴퓨팅 및 AI 기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메모리 기술입니다. 현재 HBM 시장에서는 삼성과 SK하이닉스가 주요 모서리이며, SK하이닉스는 HBM3 등 최신 기술에서 오히려 더 그렇다고 평가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HBM'이란 고대역폭 메모리로, 특히, AI, 빅데이터 등 데이터 처리량이 큰 분야에서 필수적인 부품입니다.
HBM 시장에서 SK하이닉스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습니다.
시장 점유율 측면에서는 SK하이닉스에 뒤쳐져 있는 상황입니다.
-'파운드리'는 다른 기업의 반도체 설계를 위탁 생산하는 사업입니다.
파운드리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TSMC에 이어 세계 2위 기업입니다.
현재는 TSMC를 따라 잡기 위해 엔비디아에 문을 두드리고 있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