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청렴한다슬기253
청렴한다슬기25322.11.10

정기예금 과 정기적금 중 금리 증가 비교 ?

정기예금 과 정기적금 중 금리 증가에 유불리를 비교 부탁드립니다

정기예금 6개월에 10%이면 수령시 5%가 이자 수입이 되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정기예금은 한번에 목돈을 예치하는 방식이며, 정기적금의 경우는 매월 일정한 금액을 납입하는 저축 방식입니다.

    정기예금의 금리와 정기적금의 금리 중 어떤게 유리한지에 대해서는 예시를 하나 들어서 설명드릴게요!

    A : 월납입액 50만원 목표금액 600만원 1년만기의 금리 10% 정기적금을 가입

    B : 600만원의 1년만기의 금리 6%의 정기예금을 가입

    A의 이자는 325,000원(세전이자) B의 이자는 360,000원이 발생합니다.

    위의 사례를 보더라도 정기적금의 금리가 4%나 더 높음에도 불구하고 정기예금의 이자가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요. 그 이유는 적금은 은행에 예치된 기간에 따라서 월 납입금액을 가중평균하여 산출하다보니 실제 받게 되는 이자금액은 약정이자율보다 낮게 받게 됩니다.

    그리고 질문자님께서 말씀주신 정기예금 6개월에 10%의 이자율은 연간이자율을 의미하기에 실제 6개월 후에 받게되는 원금에 대한 이자금액은 5%에 해당하는 금액을 받게 됩니다.

    가령 예를 들어서 1,000만원을 6개월 정기예금의 연간 10%의 이자률을 지급한다면 만기시에는 5%에 해당하는 이자금액인 500,000원의 이자를 수령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10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같은 금리일 땐 적금보다 예금이 훨씬 유리합니다. 적금은 세후 22만원, 예금은 세후 25만원의 이자를 받습니다. 금리가 4%로 같다면 적금은 세후 22만원, 예금은 무려 세후 40만6,080원입니다.

    일단 적금은 단리로 이자를 지급합니다. 그래서 첫 달에 붓는 100만원만 12개월 동안 온전히 4%의 이자가 붙습니다. 두 번째 달에 붓는 100만원은 나머지 11개월에만 이자가 붙고, 세 번째 달에 붓는 100만원은 10개월에 대해서만 이자가 붙습니다. 이런 식으로 마지막 달에 붓는 100만원은 딱 한 달만 4%의 이자가 적용됩니다. 여기에 이자소득세 15.4%를 공제하면 실제 손에 쥐는 금리는 1.83%(약 22만원)에 불과합니다.

    반면 정기예금은 첫 달 납입한 1,200만원에 대해 1년간 2.5%의 금리가 온전히 적용됩니다. 이자소득세를 적용해도 세후 이자만 25만원(2.1%)이 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