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환율이 올라갈수록 우리나가 경제가 안 좋아지는 이유를 부탁드립니다.
미국 환율이 올라갈수록 우리나가 경제가 안 좋아지는 이유를 부탁드립니다.
우리나라 환율이 1400원을 돌파했다고 주식이 미친듯이 폭락하고 있는데요
환율이 오를수록 우리나락 경제가 어떤 이유로 안 좋아지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이 오르면 수입 물가가 상승하고, 원자재 및 소비재 가격이 올라 소비자와 기업의 부담이 커집니다. 또한, 원화 가치 하락으로 외채 상환 부담이 증가하고, 해외 투자자들이 불안감을 느껴 자본 유출이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수입물가에 악영향을 주게 되기 때문에 우리나라 전체 물가가
급등하는 상황이 나타납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떠나고 우리나라에 투자할 유인이 줄어들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는 외세의존, 무역 의존도가 매우 높은 나라이기 때문에 무역이 안 되면 망합니다 현 정부는 내수도 내팽개치고 있고요 그래서 소상공인이나 서민들이 어렵다고 하는 것이지요 물건을 팔 때 환율이 높으면 수익이 줄어들고요 또 수입할 때는 더 비싸게 주고 사 와야 됩니다 그러면 당연히 물가가 올라갑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환율이 올라가면 일반적인 수출입으로 먹고 사는 나라들은 환율에 의해 경상수지 수익으로 먹기 때문에
환율이 올라간다는 것은 그만큼 원화가치가 떨어지고 세계경제가 안좋아 수출이 부진할 때는데 수입을 하는 빈도가 높아지게 되면서 더욱더 큰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환율 상승은 경제에 여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먼저, 수입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생산자 물가와 소비자 물가가 오릅니다. 이렇게되면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켜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외채 상환 부담이 증가해 기업과 가계의 재정적 압박이 커집니다.
환율 상승은 수출 기업의 가격 경쟁력을 약화시켜 수출 감소와 기업 수익성 악화를 초래하며 일자리 감소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도 한국 주식시장에서 자금을 빼갈 가능성이 커져 경제 불안정성이 증가합니다.
안녕하세요.
환율이 오르게 되면 원자재 특히 에너지 대부분을 해외에서 구입하는 한국은 환율 상승시 수입 비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에너지, 원자재, 식품 등의 물가 상승을 초래하며 이로 인해 생활비 부담이 가중될 수 있습니다.
또한 외화로 부채를 가진 기업은 환율이 증가할 때 상환 부담이 증가하게 됩니다. 그리고 외국인 투자자들은 자산 가치 하락을 우려해서 국내 주식과 채권을 매도하고 자금을 회수할 가능성이 커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