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반가운말똥구리56
반가운말똥구리56

생수의 유통기한이 은근히 길더라고요.

페트 소재에 밀봉된 생쉬 경우에는 유통기한이 생각보다 길다는 것에 적잖히 놀라긴 했습니다. 단순히 외부와 완벽히 차단된 밀봉 상태라서 그렇게 긴 것인가요? 아니면 별도로 방부제 등 처리를 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페트 소재에 밀봉된 생수의 경우, 생산 후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외부 공기나 물질이 들어오지 않아 미생물의 번식을 막아 유통기한이 상대적으로 길어집니다. 그러나, 밀봉상태에서도 시간이 지나면 물질이 자연스럽게 빠져나가거나 미생물이 번식하여 유통기한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조사는 제품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별도의 방부제를 사용하거나, 제품 생산 과정에서 철저한 위생 관리를 실시하여 제품의 유통기한을 늘리기도 합니다. 하지만, 모든 제품에 방부제가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유통기한은 제품의 특성과 생산/보관 환경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품 별로 유통기한을 확인하고 적절한 보관 조건을 지켜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생수는 사실상 밀봉되어 있을때 유통기한의 개념이 없다고 합니다 (각 국가마다 기준이 다르기 때문)


      이말이 의미하는것은 유통기한이 지나도 상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 뜯지 않은 생수내부에 상하게 할 세균이 없다는 의미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 2년을 찍는데, 스파클링인가는 6개월이더군요.

      생수에는 기본적으로 영양성분이 없기 때문에,

      미생물이 자랄 수 없습니다. 그래서 멸균 살균 개념이 필요치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페트병으로 포장된 생수는 일반적으로 1년 이상의 유통기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통기한을 가지는 이유는 페트병에 생수를 넣을때 불순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세척 후 담고 또 공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밀봉되어 있습니다. 이것이 외부와 공기와 반응하여 산화와 부패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페트병 생수는 저온 및 건조한 환경에서 보관되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연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통기한이 길다고 해서 항상 안전한 것은 아닙니다. 페트병 생수를 보관할 때는 직사광선이 없는 서늘하고 건조한 장소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냉장고에 보관하면 더욱 안전합니다. 만약 냄새, 맛, 혹은 색상 등에 이상이 있다면 유통기한과 상관없이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물 자체는 유통기한이라는 것이 없지만 이것이 PET병에 담겨져 있고..또 사무실같은데서 사용하는 말통 생수도 통에 담겨져 있어서 공산품으로서의 유통기한이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편의점에서 파는 PET생수는 6~12개월이라고 하는데...이 또한 보관과 어떻게 마시느냐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습니다.

      PET생수의 보관은 직사광선을 피하는게 좋고 가급적 서늘한 곳에 보관하며, 입을 대고 마시지 말고 컵 사용을 권장합니다.

      또한,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말통 생수도 통상 3~6개월 유통기한 수준이지만 가급적이면 일주일 단위로 구매하여 소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개봉이 되지 않으면 아무래도 좀 더 긴시간 보관 가능하지만 장시간 직사광선에 노출된 물이라면 생수도 변질 될 수 있기 때문에

      마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살균밀봉이 잘되는경우 오랜기간 유통기한이 유지됩니다.

      다만 플라스틱의 용해나 보관환경에따라 유통기한이 영원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페트 소재에 밀봉된 생수는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미생물의 침입이나 산화 등의 영향을 받지 않아서 유통기한이 상대적으로 길어집니다. 그러나 페트 소재 자체에는 내부의 물질이 외부로 쉽게 확산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생수를 담은 페트병의 내부면에는 특별한 처리가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일부 생수 제조업체에서는 페트병 내부면에 항균제를 도포하여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고 유통기한을 연장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또한, 일부 생수 제조업체에서는 산소 및 빛 등의 외부 요인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직접적인 햇빛이 닿지 않도록 밀봉 포장을 하거나, 산소가 닿지 않도록 진공 포장을 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생수 제조업체마다 다양한 방법으로 유통기한을 연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이 결합되어 생수의 유통기한이 상대적으로 길어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페트 소재에 밀봉된 생수의 유통기한이 긴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페트 병 자체가 내구성이 높아서 밀봉 상태를 유지하기 쉽습니다. 페트 병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서, 공기나 물기가 통과하지 않으며, 내부에서 생수가 산소와 물기를 받지 않도록 보호합니다. 따라서 밀봉 상태가 유지되면 생수의 유통기한을 늘릴 수 있습니다.

      둘째, 생수는 일반적으로 균에 대한 저항성이 높습니다. 생수에는 대부분 균이 없거나 매우 적은 양의 균만 존재하기 때문에, 밀봉 상태가 유지되면 균이 번식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셋째, 일부 생수 제조업체는 생수를 처리할 때 방부제나 항산화제 등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화학물질은 균이 번식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생수의 유통기한을 늘리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생수의 유통기한은 무조건적으로 길다는 것은 아닙니다. 생수 제조업체는 제품의 유통기한을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과 연구를 수행하며,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제품의 유통기한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제품의 유통기한은 제조 공정과 함께 다양한 요소들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모든 생수가 무한정 보존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정우재 과학전문가입니다.


      생수가 유통기한이 비교적 긴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생수는 자연적으로 미생물이 적어 식품의 유통기한이 짧은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유통될 수 있습니다. 물론 생수는 깨끗하고 위생적인 환경에서 생산되고 처리되어야 하며, 물의 질에 따라 유통기한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 생수는 식품의 유통기한이 상대적으로 짧은 것에 비해 유통기한이 길기 때문에 오랜 기간 동안 저장이 가능합니다.


      둘째, 생수는 대부분 비극성이기 때문에 물질의 분해나 산화 과정이 매우 느리게 일어납니다. 따라서 생수가 노화되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길어집니다.


      셋째, 생수는 특별한 처리 없이도 대부분 미생물이나 선충 등의 유해균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생수가 깨끗한 환경에서 생산되고 처리되어, 그리고 적절한 포장과 보관 방법을 통해 유통될 경우, 그 유통기한이 더욱 길어질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생수는 대부분 보통 물의 성분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존 처리가 매우 간단합니다. 따라서 생수를 유통하기 위해 특별한 보존처리나 화학적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상대적으로 길어집니다.


      하지만 생수도 물론 유통기한이 있기 때문에, 생수를 구매할 때는 반드시 유통기한을 확인하고, 저장 및 보관에 주의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생수의 유통기한은 생수의 원료와 생산 방법, 포장재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반화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생수는 외부와 완벽히 차단된 밀봉 상태에서 보관될 경우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동안 유통이 가능합니다.

      이는 밀봉된 상태에서는 외부의 불순물이나 세균 등이 생수에 침입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생수의 원료, 생산 방법, 포장재 등에 따라서는 방부제 등이 처리되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처리를 통해 생수의 유통기한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생수도 일정한 기간 이후에는 물질의 노화나 세균의 번식 등으로 인해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생수의 유통기한은 제조일로부터 일정 기간 이내로 규정되어 있으며, 이를 초과할 경우에는 섭취 전에 반드시 품질을 확인하고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자체가 원래 잘 썩지 않고 밀봉된 상태이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깁니다 따로 방부제나 첨가물등을 넣어 유통기한을 늘리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