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에서는 공감기술이 중요합니다. 클라이언트의 감정을 파악한 공감 기술은?
사람을 상대하는 직업이기 때문에 사회복지에서는 공감기술이 아주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렇다면 클라이언트의 감정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언어로 표현하는 공감기술은?
클라이언트의 감정을 파악하는 공감기술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공감적 반영이라고 말합니다.
클라이언트의 말과 행동 속에 담긴 감정, 태도, 신념을 민감하게 포작하여
그것을 언어로 명확하게 표현해줍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클라이언트가 내가 이해 받고 있구나라는 느낌을 갖게 만드는 기술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안장이 사회복지사입니다.
내담자분들의 이야기 를 경청해주고
라포형성이 가장 중요한 듯해요
현역에서 느끼고 겪는건데 가족들과
더 친밀한 유대가 형성되고 소통도 자유로워집니다
특히 선생님 하면서 인사하는데 보람이 크답니다
화이팅 응원 할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사회복지사입니다.
사람을 상대하는 직업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대화적 소통 " 입니다.
특히나 감정을 공감하는 기술력은 대화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 입니다.
클라이언트의 감정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감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경청" 하는 자세가 중요 합니다.
상대가 무엇을 전달하고자 하는지, 가장 중점적으로 해결 되어야 하는 문제가 무엇인지를 아는 것이 먼저 입니다.
그리고 상대의 감정을 이해 시키며 조언을 주긴 보담도 그 상대의 감정을 그대로 공감 하면서 상대의 마음을
헤아려 주는 부분이 중요 하겠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클라이언트의 말을 잘 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상대방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해야 합니다.
본인의 경험을~~ 본인이 책으로 배운 내용을~~ 자꾸 결합시키려 하면 절대로 상대방과 공감할 수 없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참으로 어려운 면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사회복지사입니다.
클라이언트의 공감을 표현하는 기술은 언어뿐 아니라 비언어적 신호로 표정이나 자세, 말투 음 아 ! 이런식으로 호응하면서 민감하게 포착하는 경청, 그리고 무슨 일이 있었나요?, 그때 어떤 기분이 드셨나요? 등의 개방형 질문을 활용하거나 클라이언트가 강한 감정을 보일 때 부드럽게 반응하며 감정을 알려주는 속상한 기분이 드셨겠군요 이런식으로 감정 읽어주기, 감정은 옳고 그름이 아닌 당신의 그 속상함은 존중받아야 할 경험이라는 접근으로 비판이나 판단 없이 수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공감기술이라고 하겠습니다. 공감기술의 핵심요소는 상황과 맥락을 고려해 감정의 근원을 이해하는 감정 도달, 고개를 끄덕이거나 그 상황에서 정말 당혹스러워셨겠어요 라는 등의 비언어적, 언어적 표현으로 감정을 이해했음을 표현하거나 지금 말씀을 들으니 슬프고 힘드셨을 것 같아요라는 등 언어로 명확하게 표현해주는 것입니다. 이는 실제로는 내용의 반영, 감정의 반영, 의미의 반영등으로 나타날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사회복지사입니다.
클라이언트의 감정을 파악하여 언어로 표현하는 공감기술은 사회복지나 심리상담 등에서 필요한 핵심적인 의사소통 방법입니다. 클라이언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적절한 언어적 표현과 고개를 끄덕이고 눈맞춤을 하는 등 신호전달체계인 비언어적 표현의 기술이 중요합니다. 상황에 따라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 기술을 사용하면시 클라이언트를 존중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