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멀리 나는 참새
멀리 나는 참새24.04.24

아이들이 사춘기가 왔을 때 지혜롭게 대처하는 방법이 알고 싶어요

아직까진 아이들이 사춘기가 오지 않은 거 같은데 앞으로 사춘기가 올 거 같은데 아이들이 사춘기가 왔을 때 지혜롭게 대처하는 방법이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살면서 처음 겪어보는 감정적 변화와 신체적 변화에 우리 아이들은 혼란을 겪습니다. 함께 사는 보호자분들도 더불어 혼란을 겪게 되는 게 바로 사춘기입니다. 이러한 사춘기가 왔을 때에는 부모님들께선 아이에게 잔소리를 줄이시고 사소한 간섭도 줄이셔야 합니다. 아이의 변화와 현대 상태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시려고 노력하시고 아이가 현재 심리적으로 불안한지의 여부를 자주 체크하셔야 합니다. 부모님에게 관심이 없는 듯 보이지만 사춘기 아이들은 누구보다 부모님에 관심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얼굴을 마주보고 말로 표현하시기 어려우시다면 글을 활용해서라도 아이와 꼭 소통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가 온 아이를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생리적으로는 성적 충동이 커지고 심리적으로는 성인처럼 행동해야 된다는 새로운 압박감이 생깁니다.

    더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까지 겹치게 됩니다.

    따라서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겨울잠을 자러 들어간 곰이라고 생각하고 새봄에 동굴로 나올때까지 기다려주면 어떨까 싶습니다.

    컨디션이 괜찮을 때는 '힘들지? 잘하고 있으니까 너무 걱정하지마, 잘 이겨낼 있을거야' 등의 응원을 보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뭔가를 해주려고 하면 할수록 아이와의 갈등과 감정의 골이 깊어질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는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생리학적 변화로 인해 감정의 변화가 크고 불안정해지는 시기입니다. 이 기간 동안 부모님들은 자녀들과의 소통과 이해를 통해 서로간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사춘기가 왔을때는 너무 다그치지말고 뒤에서 조용히 기다려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평소교감이잘되고아이와소통및관심등 유대감이좋다면사춘기때도자연히대화하고즐거운시간을보낼수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가 왔을때 부모는 아이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인정해 주면 됩니다. 아이는 점점 커서 부모의 간섭에서 벗어나 독립적으로 행동하고 싶어하는데 부모는 사춘기 자녀를 아직 어린 자녀로 생각하고 모든것을 관여하려하고 독립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반항으로 생각하게 되므로 대립이 생기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