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정중한사자17
정중한사자1723.07.27

우리나라는 습도가 높은편인가요?

유럽같은데 요즘 기온이 높아서 날리라는데 습도가 낮아서 생각보다 별로 안덥다고 들었는데 우리나라가40도 되면 난리난다는데 습도가 높은편인가요?

이유가뭐죵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것 처럼 우리 나라는 여름에 특히 고온다습한 기온이 되어 최대 습도 80% 가 되는 습한 지역 중에 하나 입니다.

    습도가 낮고 온도만 높은 지역에는 밖에서 숨을 쉴 때 답답한 느낌이 들지 않고, 습도가 높고 온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서늘한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습도가 높고 온도도 높은 곳에서는 해당 습도와 열로 인해 숨을 쉴 때 답답한 기분을 느낍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우리나라는 여름에 습도가 높은 편입니다. 여름에는 평균적으로 78~80%의 습도가 되어 답답함을 느끼죠. 우리는 여름에 남쪽에서 올라오는 기단의 영향을 받습니다. 남쪽에서 올라오는 기단은 바다를 지나며 많은 수증기를 내품고 올라오게 됩니다. 이러한 기단 때문에 덥고 습한 날씨가 되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습도가 높은 편입니다. 우리나라는 연평균 습도가 70% 정도이고, 여름철에는 80% 이상까지 올라갑니다. 습도가 높으면 체온을 발산하기가 어려워서 더 덥게 느껴집니다 반면 유럽은 습도가 낮은 편입니다. 유럽의 연평균 습도는 50% 정도이고 여름철에도 60% 정도에 머무릅니다. 습도가 낮으면 체온을 발산하기가 쉬워서 더위를 덜 느낍니다.


  • 안녕하세요. 조용찬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라는 4계절을 가지고 있어 여름에는 습하고 겨울에는 건조합니다.

    습도가 높다고는 할수없고 평균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도 습도가 높은편이죠.

    장마철에는 거의 90프로 이상 수준을 유지하고, 아닐때도 여름철에는 평균 70이상을 유지하는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습도가 높을수록 공기가 무겁고 끈적이며 불쾌감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습한 기후에서는 기온이 낮아도 불쾌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에, 건조한 기후에서는 습도가 낮기 때문에 실제 기온보다 더 더운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한국은 여름철에 습도가 높은 기후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40도를 넘는 높은 기온과 높은 습도가 동시에 발생하면, 체감 온도는 더욱 높아져서 심각한 열사병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유럽과 같은 지역은 그에 비해 습도가 낮은 편이라서, 높은 기온이라 할지라도 덜 불쾌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