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 두통이 있을때 꼭 약을 먹는게 이로울까요?
두통이 자주 있지는 않고 피곤하거나 할때 가끔 생깁니다
정도도 심할때도 있고 약간의 언짢음정도 일때도 있는데
나중에 두통이 심해질때를 생각해서 가능하면 약은 자제하는 편입니다
올바른 판단일까요?
또 약을 알려진 두통약도 계속 복용하면 내성이 생기겠죠?
그정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진태웅 약사입니다.
두통이 있을때 진통제를 필요시 복용하시는건 괜찮습니다. 카페인함유 진통제는 내성이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인 진통제는 내성은 발생되지않으나 두통통증이 점점 심해질 수 있어 약효가 떨어진것으로 생각될 수 있습니다. 장기복용시 위염발생우려도 있기에 만성 두통은 원인치료 및 마그네슘,오메가3등의 영양요법도 병해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오서영 약사입니다.
통증이 가벼운 정도가 아닌, 두통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실 정도라면 진통제를 복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우선 통증이 느껴지실때에 종종 복용하시는 정도로는 약물 내성이 잘 생기지 않으며, 두통에 많이 복용하시는 타이레놀은 내성이 잘 생기는 약물이 아니어서 걱정하지 않으시고 복용하셔도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통증이 계속될 경우 몸에서 염증인자가 분비가 됩니다. 그렇기에 무조건적으로 참는것이 좋지는 않으니 필요시 약은 복용을 하시는게 좋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강희약사입니다.
두통약은 내성을 유발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장기간 꾸준히 복용하셔도 괜찮고 통증이 있을 때만 간헐적으로 복용하셔도 괜찮습니다.
증상이 있을 때 참는 것보다 약을 복용해서 완화하는 것이 훨씬 이익이 크므로 약을 복용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일반적으로 두통에 복용하는 단일 성분의 진통제는 거의 내성이 생기지 않습니다.
가끔 두통이 있을 때 참지말고 약을 복용하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보통 두통이 있으면 복용하는 약은 진통제라 보시면 되는데, 간헐적으로 진통제를 복용하시는 것은 특별히 내성을 걱정하실 정도는 아닙니다. 즉 필요하시면 약을 복용하셔도 되는데, 말씀하신 것처럼 약간의 통증만으로도 약을 찾는 것은 의존성이 생기는 행위겠지만 심할 경우라면 너무 참지 마시고 약을 복용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내성을 걱정하셔서 두통이 있는데 진통제를 안 드시는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의약품으로 구하시는 acetaminophen이나 NSAIDs 계열의 약은 내성을 갖지 않습니다. 두통이 오면 약을 드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만약 약을 드셔도 효과가 없다고 느껴진다면 증상이 악화된 것이니 진료를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두통약은 내성 거의 없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불편하실 때 드셔도 됩니다.
항생제 내성 문제로 인해 사람들이 다른 약들도 내성이 생긴다고 생각해 잘 안 드시는 경우가 있는데 내성 거의 없습니다. 신경정신과 약물이나 항생제 등 몇몇 약물 제외하고는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진통제로 쓰이는 일반적인 성분들은 자주 복용한다고 해서 내성이 생기는 것은 아니므로,
나중을 대비해서 지금 안드실 필요는 없습니다
필요한 상황에서는 약을 복용하시면 되며, 과다복용하지 않도록만 주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두통이 자주 생기는 분들은 유발하는 어떠한 원인이 있을 수 있으니,
병원 진료를 보고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백찬양 약사입니다.
가끔 두통이 발생하는 거라면 아세트아미노펜 같은 약을 복용하셔도 됩니다.
약에 너무 의존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지만 무조건 약을 피하실 필요는 없겠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네 진통제라 불리는 것들은 계속 드시다 보면 본인이 더이상 약이 듣지않는다고 생각될때가 옵니다 정말 필요하실때만 드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