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아이는 등산 같은 힘든 운동을 시키면 안 될까요?
제가 아이를 계속 운동시키고 싶은데요 그런데 한 가지 궁금한게 어린아이는 등산 같은 힘든 운동을 시키면 더 안 좋을 수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숲(자연)은 가장 좋은 선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이와 가볍게 산책을 하면서 자연을 변화를 몸으로 체험한다면 그보다 더 좋은 교육은 없을 것입니다.
요즘 숲유치원이 각광을 받고 있는 이유도 이런 연유에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오히려 아이들이 성인에 비해 산을 더 잘 오를 수도 있습니다.
아이에게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 차근차근 진행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꾸준한 운동은 아이의 성장에도 도움이 됩니다.
어린아이의 기준이 몇 살인지는 정확히 모르겠으나 보통의 아이들이 등산에 무리 없이 할 수 있는 정도의 나이는 7살 무렵부터 초등학교 저학년까지 가능합니다. 이 정도 나이가 되면 아주 험하고 어려운 곳은 아니더라도 동네 뒷산이나 쉬운 난이도에 이름 있는 산은 부모님과 함께 등산을 할 수 있습니다. 등산에 성공하게 되면 아이는 그 과정 속에서 자신에 대한 자신감과 스스로 성취감을 느끼게 되는데요. 이렇듯 등산이라고 하는건 살아가는 데 있어서 중요한 인생의 요소들에 대해 자연스럽게 알아 가게 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힘든 운동을 하는 경우 성장이 더딜 수 있습니다.
가급적 유산소 운동 등을 시키는 것이 아이성장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등산을 하게되면 체력단련이 되고 정상까지 올라갔을때의 성취감을 느낄수 있을뿐만아니라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즐거운 경험도 할수 있으며 부모님과의 함께 하는 등산은 유대감이 강화될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린 아이들은 뼈가 성장하는 과정에 있기때문에 너무 가파르거나 험한 곳의 등산은 아이가 다칠위험이 있을수 있기때문에 아이가 충분히 오를수 있은 곳으로 등산을 하시는것이 좋습니다. 또한 등산을 하기전에 안전교육을 하고 초콜릿이나 음료같은 간식을 준비해서 가시는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아이가 등산과 같은 힘든 운동을 할 때에는 적절한 준비와 감독이 필요합니다. 등산은 운동량과 지형에 따라 위험할 수 있으므로, 안전을 위해 부모나 감독이 지원해야 합니다. 또한 아이의 체력과 능력에 맞는 경로를 선택하고, 적절한 휴식과 수분 공급을 유지해야 합니다. 아이의 흥미와 즐거움을 중요시하여 부담스럽지 않고 즐겁게 활동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등산은 좋은운동이죠.
아이 연령에 맞게 산을 선택하시거나 목적지를 선택하여 무리하지 않게 등산하는것이 좋겠지요.
에너지 넘치는 아이들은 어른들보다도 더 잘하는 경우도 있어요.
산은 항상 위험을 도사리고 있으니 아이가 안전하게 등산할 수 있도록 어른들과 맞춰 산행하시길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초등학생 이라면 등산을 해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코스가 중요합니다. 경사가 지고 힘든 코스는 아이에게 무리 입니다.
경사가 지지 않는 평평한 길을 걸으면서 산책 하듯 걸을 수 있는 등산코스로 등산을 진행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가 조금씩 산행에 익숙해지면 코스에 단계를 조금씩 높여 가도록 하세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어린아이들은 성인보다 체력이 약하므로 등산을 하기에는 체력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특히 높은 산을 오르거나 장시간 산행을 하는 경우에는 더욱 더 체력이 많이 소모되기 때문에 어린아이에게는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