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전력 전송 기술이 충전 케이블을 대체할 수 있는 원리는?
안녕하세요. 무선 충전은 자기유도 또는 공진 방식으로 작동한다고 하는데,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이 충전 케이블 없이 에너지가 전달되는 원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전자기유도 및 자기공명과 같은 원리를 이용해 충전 케이블을 대체할 수 있는데요. 송신 코일에 교류 전류를 흘려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하면, 이 자기장이 수신 코일에 전압을 유도하여 전류가 흐르면서 기기가 충전되는데 아직은 저전력에만 가능한데 앞으로는 고전력전송에도 사용될거예요.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무선 전력 전송은 코일 사이의 자기장을 이용해 에너지를 전달하는 원리로 송신 코일에 전류가흐르면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 자기장이 수신 코일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킵니다 이를 통해 전기가 물리적 접촉 없이 전달되며 이는자기유도 또는공진 주파수 일치에 의해 효율이 높아지게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무선충전 기술에서 무선전력 전송을 하는 원리는 전자기유도 원리를 사용합니다. 우선 충전기는 송신 코일이 있고, 충전부에는 수신 코일이 존재합니다. 충전기에 연결된 전기는 DC직류인데, 일단 AC교류로 변환하여 송신코일에 흘려줍니다. 그렇게 되면, 페러데이 법칙으로 인해 자기장이 생성되게 되고, 이 자기장 근처에 수신코일이 접근하게 되면 또 다시 페러데이 법칙에 의해 AC유도전류가 생성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수신코일에서 AC유도전류를 다시 DC직류로 변환해서 전기제품을 무선충전할 수 있게 됩니다. 결국 무선충전은 자기장이 매개체가 되어서 에너지를 옮기는 원리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하성헌 전문가입니다.
무선 전력 기술의 경우 우리 주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무선 충전이나 무선 데이터 전송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송신부와 수신부의 관련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비가 필요합니다. 이는 자기 유도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의미합니다. 이는 자기장의 변화로 인해 데이터가 전송이 되는 것을 의미하며, 전기의 간접적인 전달을 통해서 데이터가 전송이 됨을 의미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무선충전은 방식은 2가지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건 자기유도 방식입니다.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발생되면서 충전하려는 기기에 자기장에 의해서 전자기 유도가 발생되면서 전류가 흐르면서 저장이 되는 원리입니다. 거리가 짧다는 단점과 충전 위치를 맞쳐야하고 그게 안맞쳐 지면 발열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효율은 약 60~80%정도 됩니다. 공진 방식은 공진 주파수를 통해서 주파수를 주고 받으면서 자기장이 생기고 그로인해서 전자기 유도가 발생되어서 전류가 생성되는 것입니다. 다만 공진 방식은 거리가 좀더 길어서 몇cm까지 되고 또한 위치가 조금 틀어져도 괜찮습니다. 효율도 약 70~80%정도 되지만 비용적인 문제가 있어서 전자기유도방식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