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느긋한돌고래111
느긋한돌고래111

최근에 환율이 왜이렇게 계속 떨어지는건가요?

최근에 환율이 왜이렇게 계속 떨어지는건가요?

어느덧 1350원이 되었던데요.

왜 계속해서 환율이 떨어지고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어떠한 경제적인 원인이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최근 원-달러 환율이 떨어지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무려 1,500원까지도 갈 것으로 보였던 원-달러 환율이

    최근 1,300원 중반까지 내려 온 것은

    미국 정부가 원화 절상을 요구한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환율 하락은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와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내 주식 순매수 증가가 주요 원인이에요. 미국의 경제지표가 둔화되면서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커졌고, 이에 따라 달러 가치가 약세를 보이고 있어요.

    동시에 한국 증시가 강세를 보이며 외국인 자금이 원화로 유입되고 있어 원화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요. 또, 무역수지도 흑자를 유지하며 외환시장 안정에 기여하고 있어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이 하락하는 이유는 달러가 약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인데, 지난밤 연방의장 파월이 다음 달 금리 인하 여부에 관한 질문에 인플레이션 압력이 계속 억제된다면 금리를 조기 인하할 수 있다고 답변하면서 미국 정책금리 인하 기대에 따라 달러가 약세를 보인 것이죠.

    1명 평가
  • 환율은 국내외 경기수준, 통화정책, 수출입 동향 등 무수히 많은 경제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쳐 그 가격이 결정됩니다. 최근 환율하락의 주요 원인으로는 미국 정부의 금리인하 가능성 상승, 중동불안 완화가 꼽히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금리인하 기대감으로 달러가치는 내려가고 있는 반면, 한국은 정치적 리스크 해소와 긍정적인 정책의 기대로 원화가치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원화가치 상승과 달러가치 하락으로 환율은 하락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에서 현재 상황에 금리 인하 기대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없으나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달러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환율 하락으로 보고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원달러 환율이 1400원 중반대에서 최근 1300원 중반대까지 하락하며 원화 강세가 나타난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미국의 국채 발행 시 수요의 저조와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하락 등으로 달러 신뢰가 약화되면서 글로벌 달러 수요가 감소했고,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도 달러 약세를 부추겼습니다. 동시에 아시아 통화 동반 강세, 한국 수출 회복 기대감, 증기 상세로 인한 투자금 유입 등이 원화 강세로 작용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의 환율이 떨어지는 것은 미국에서 자체적으로 미국 달러의 ㅊ가치를 평가절하하기 떄문입니다. 이러한 평가절하를 하면 원화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아져서 환율이 내리며 환율이 내리게 되면 무역에서의 수입이나 수출에서 영향을 받습니다. 비록 환헷지를 한다고 하더라도요. 이러한 환율이 내리면 수출에서는 상대적 손해 수입에서는 상대적 수익이 발생할 수 있는 측면이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도 있고 우리나라 증시의 활황으로 외국 투자자들이

      원화를 매수했기 때문도 있습니다

    • 원화에 대한 매수세가 올라갈수록 환율은 하락하게 되어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환율이 떨어지는 건 미국이 금리 인하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진 영향이 큽니다. 금리가 낮아지면 달러 매력이 줄어들고, 그럼 외국인 자금이 다시 신흥국 쪽으로 빠져나가면서 원화가 강해지는 흐름이 나오는 거죠. 또 우리나라 쪽으로 외국인 투자도 다시 들어오는 분위기니까 원화 수요가 올라가고요. 수출 실적이나 무역수지 흑자도 영향 있긴 한데, 요즘은 거의 달러 약세에 따른 원화 강세 쪽으로 해석되는 분위기입니다. 단기적으로 환율이 좀 출렁이긴 하겠지만 큰 틀은 그런 기대심리가 좌우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