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28

헬리코박터 진단시 어디에 좋지 않는건가요?

나이
45
성별
여성

건강검진시 결과에 헬리코박터 균이 있다고 치료를 해야한다는데

치료 안하게 될때는 어떤 결과들이 생길까요,

꼭 치료해야만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웃는표범236
    잘웃는표범23623.06.28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헬리코박터 균이 있다고 무조건 치료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소화성 궤양이 있는 경우에는 위암의 위험인자가 될 수 있기는 합니다.

    교과서적으로는 헬리코박터균 감염이 확인됐을 때 소화성 궤양, 저등급 점막관련림프종(MALT type B cell lymphoma), 조기위암의 내시경적 절제 후, 특발성 혈소판 감소증이 있을때 해서 이 네가지 경우에만 제균치료를 한다고 나와있습니다. 그래서 이 네가지 경우에는 급여로 제균치료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요즘은 내과에서 예방적인 차원에서 헬리코박터균이 있으면 위 네가지 기준과 상관없이 제균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은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건강검진에서 핼리코박터균이 발견되어 궁금하시군요.

    이 균은 음료 광고로 유명해졌는데, 위암을 유발하는 균이라는 점에서 제균치료가 꼭 필요합니다. 병원을 방문해 상담받으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헬리코박터는 위암의 발암요인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궤양 같은 경우는 헬리코박터를 치료하지 않으면 자꾸 재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