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히드기
히드기22.09.23

아이가 혼자서 밥을 안먹으려고 해요

32개월 아기인데 두돌 지나서 스스로 포크로 고기도 먹고 하더니


어느순간 엄마나 아빠가 먹여달라고 계속 짜증을 내요


어떻게 해야 아이 스스로 먹는 습관을 만들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천천히라도 기다려주는것이 좋으며

    아이가 아직은 힘들수도 있는 나이입니다.

    너무 조급해하지말고 천천히 스스로 한번씩이라도 하도록 해주고 격려해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혼자서 밥을 먹을 수 있는 습관을 만들어 주기 위해 먹여주지는 마세요.

    몇번 먹여주가 보면 습관처럼 고착화 될 우려가 있습니다. 시간이 걸리겠지만 혼자서 먹을때까지 기다려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스스로 먹지 않으면 밥을 주지 않겠다는 단호한 태도를 보이셔야 합니다.

    부모님과 같이 식탁에 앉아 식사를 하면서 각자가 자기 식사만 하는 모습을 보여주시고 아이가 먹지 않겠다고 한다면 차린 음식을 치워보세요. 몇번 반복하다보면 아이가 음식은 스스로 먹는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밥이 없어진다고 느낄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9.23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포크나 숟가락 등의 도구를 사용해서 스스로 음식을 먹었을 때 아이의 행동에 대해 충분한 칭찬을 하거나 혼자서 밥을 먹었을 때 비타민이나 스티커 등의 보상을 제공해주는 것도 하나의 좋은 방법이 될 것 같아요 :)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엄마 아빠가 아기에게 밥을 떠 먹여 주는 게 아마도 습관으로 굳어진 것 같습니다.

    이럴 땐, 아이가 좋아하는 만화 케릭터로 된 수저로 밥을 먹게 해보기 바랍니다.

    아이가 수저에 흥미를 느껴서 스스로 떠먹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식사를 할때 단호하고 일관된 태도를 보이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짜증을 내면 부모가 먹여준다는 것을 알고 있어 계속 짜증을 내는 것입니다 일관된 태도를 보이셔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징징댄다고 그렇게 먹여주시는 것이 아닌

    단호하게 아이가 먹도록 하시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마음 약해지지 마시고 단호하게 훈육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스스로 밥을 먹는다면 이를 칭찬해주세요.

    그리고 아이가 밥을 잘 먹었을 떄에는 이에 걸맞는

    칭찬과 포상을 적극적으로 해주세요.

    아이가 그렇다면 식사를 혼자 잘 하는데 동기부여가 될 것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떠먹여 줘야 먹는 아이들은 엄마가 밥을 먹여 주는 놀이로 생각할 수도 있어요

    그래서 한 입 받아 먹고 놀고 또 주면 먹고 놀고 이렇게 순환이 되는거죠

    과감하게 떠먹여 주는 걸 멈춰야 합니다

    떠먹여 주는 건 응애 응애 하는 아가 한테만 하는 행동이라고 알려주세요

    아가들은 누구라도 스스로 먹는 걸 좋아하는 아기는 흔치 않을 것입니다.

    아가 입장에서는 엄마가 먹여주면 편하고, 놀이를 하면서도 받아 먹을 수 있고, 사랑 받는 느낌도 들 수 있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식사 교육이 필요하므로, 이제는 떠 먹여 주시는 건 중단해주시고, 스스로 먹을 때까지 기다려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