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예쁜라마245
예쁜라마245

위드코로나는 현재보다 좋은건가요?

어떤게 지금과달라질지 궁금합니다

현재의 상황과 비교할때

다른나라일부는 시행한거로아능데

우리나라도 경제나모든것들속에서

좋은방향이될지 궁금합티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는 향후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비슷하게 될 것 같습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도 종류가 200가지 정도 됩니다. 우리는 그 중 매해 유행 할 것 같은 4개 정도의 형태에 대해서 집단 면역을 형성하고 대응 하지만 매해 엄청나게 많은 수의 독감 환자가 발생합니다.

      코로나바이러스도 이미 예전부터 대표적인 감기 바이러스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이번에 유행하는 covid19라는 코로나바이러스는 전염성과 치사율이 높은 것이 문제입니다. 그럼에도 적절하게 집단면역을 획득하면 독감보다 낮은 발생율을 보이게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이 질병을 두려워 했던 것은 사실 불확실성 때문 이었습니다. 현재는 통제하에 있고, 불확실성이 많이 제거 된 상태입니다. 제 생각에는 독감 예방접종처럼, 연례 행사로 코로나 예방접종을 하게 되겠지만 지금처럼 사회가 통제되는 수준으로 다시 가는 경우는 매우 드물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모임인원 수만 제한이 풀릴 것 같습니다.

      언제끝날지는 알 수 없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도 자연적으로 계속해서 유전자 돌연변이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돌연변이에 맞춰서 백신도 계속해서 개발되어야하는 상황입니다.

      백신을 맞더라도

      마스크와 더불어 사회적거리두기를 계속해서 지켜주셔야 하는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위드코로나는 코로나의 감염위험도가 있어도 위중증자 발생비율을 낮추는데 촛점을 두면서 거리두기를 하향해서 경제활동을 활성화시키는데 있습니다.

      11월 말정에 백신접종률에 따라 결정이 될것으로 보입니다.

      백신을 접종했을경우에 코로나에 걸려도 중증도로 진행되는 경우가 거의없기 때문에 백신접종을 했다면 마치 독감처럼 증상이 지나갈수 있어서 거리두기를 하향해도 사망률이 나올확률이 적어질것이라는 예측을 하기 때문이에요.

      실제로 외국에서도 위드코로나를 하는 국가들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 아직까지도 정부가 제대로 백신을 확보하지 못하여 수급이 원활하지 못한 상태이며 백신을 접종 받아야 할 인구가 많이 남아있습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개인적으로 보았을 때 위드 코로나인지 뭔지 정책을 시행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좋죠 그럼요

      제 답이 굼긍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이기에 다른 선생님들의 의견도 같이 참고하시고요.

      현명한 결정 하사길 기원드립니다.

      몸 건강 하시고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용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위드코로나의 전제는 백신접종의 완료입니다.

      아직 우리나라는 2차까지 접종률이 많이 떨어진 상황,

      그리고 델타변이의 확산때문에

      위드코로나에 대해서 얘기하기엔 섣부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는 현재 백신이 개발되었으나 각종 변이바이러스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백신은 개인의 선택입니다. 다만 중증질환자(호흡기질환, 심혈관계질환, 당뇨, 고혈압, 신장질환, 면역억제자, 간질환 등) 기저질환이 있으신분들은 코로나 감염시 중증으로 진행할 위험이 높기 때문에 백신접종을 하시는 것을 고려하십시오.

      코로나 종식은 언제가 될지 아무도 모릅니다. 개인 방역수칙을 잘지키시고 신경써서 건강관리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변종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 백신 접종률로는 기약이 없습니다.

      우선 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전국민 백신 접종이 완료되고 확진자 수가 확실하게 줄었을 때로 예상됩니다.2차접종완료자수가 70%정도는 되어야 위드코로나를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을까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의 효과를 최대한 얻기 위해서는 2차의 접종이 모두 끝나야 합니다.

      현재로서는 영국 및 싱가폴과 같은 선진국의 경우, 2차 접종 완료 70%를 기준으로 정책을 정하고 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한국도 2차접종완료기준 70%정도 생각되는데,

      2차접종 70%가 되려면 내년은 되야할것같습니다.

      답변남깁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여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적어도 고위험군에 대한 2차 접종이 80%는 이뤄져야 '위드 코로나'가 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접종률로 보면 생각보다 빨리 오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빨라야 내년봄 늦으면 내년 여름넘어서 일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의 백신접종 속도라면 2022년까지 집단면역에 도달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위드코로나를 추진하는 근거는 전국민 70%가 2차접종을 완료 한 후 집단면역을 기대하기 때문입니다. 아래 첨부한 통계를 보면 돌파감염자 비율은 10만명당

      교차접종 12.6명 < 화이자 25.9명 < 아스트라제네카 87명입니다

      이를 퍼센트로 환산하면

      교차접종0.0126% < 화이자 0.0259% < 아스트라제네카 0.087%입니다

      이는 마스크를 쓰고 접종이 완료될 경우 위드코로나 정책으로 선회해 사회활동을 재개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수치입니다.

      참고뉴스출처 : https://news.v.daum.net/v/20210911050104776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로서는 위드코로나 방향으로 나아갈 수 밖에 없습니다.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는 한, 그리고 돌연변이 속도에 따른 백신이 개발되지 않는다면 지금과 같은 상황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사회적거리 두기 등의 기준을 바꿀 필요가 있고 일상생활을 하면서 중증환자나 치사율을 조절하는데 초점을 맞춰야할 단계라고 보여집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가 장기화 됨에 따라 계속적인 사회적거리 두기를 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습니다. 일상생활로 복귀하여 사회적, 경제적 가치를 유지해야하는데 코로나가 장기화 된다면 여러가지 사회, 경제적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코로나와 함께 하는 위드 코로나의 개념이 도입되고 있고 치사율과 중증환자로의 전환 비중을 낮추는데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것입니다. 다만 위드 코로나가 되기 위해서는 백신 공급이 충분하고 치료제 개발이 이루어져야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확진자 수가 현저히 감소하고 전국민 백신 접종이 완료되어야 합니다.

      -현재 확진자 수로는 마스크 벗기는 불가능 하며, 향후 전국민백신 접종이 완료되었을 때 어느정도 마스크를 벗고 거리두기가 완화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최소 6개월 정도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사실상 코로나 바이러스는 변이가 매우 쉽고 전염성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최소 1-2년 간은 완전 종식은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위드코로나도 마찬가지입니다. 경제적인 문제때문에 성급하게 실시하는 것 같은데, 방역차원으로 봐선 아직 멀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지금과 크게 달라질 것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조금씩 거리두기 단계가 풀어지긴 하겠지만 여전히 마스크는 착용하고, 손씻기는 생활화하며 백신 접종도 지속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조금씩 거리두기를 풀어가면서 상황이 나아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정확한 것은 정부의 지침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