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PSM_1011
PSM_1011

벡터 백신의 원리와 장단점이 궁금합니다

백신에 대해 탐구하고있는중인데 조사해보니 생각보다 되게 많은 백신이 있더라고요. 그 중에서 벡터 백신을 발견했는데요. 이 백신의 원리와 장점 단점에는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벡터 백신을 간단히 설명드리면 '트로이 목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통 벡터라고 하면 무해한 운반체를 말합니다, 다시 말해 우리 몸에 해를 끼치지 않는 바이러스나 세균을 이용하여 백신 항원을 운반하고, 이 운반체를 '벡터'라고 하는 것입니다.

    이 벡터 안에 특정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의 일부분인 '항원'을 넣어 우리 몸에 주입합니다. 그럼 우리 몸은 벡터가 침입했다고 인식하고 면역 반응을 일으킵니다. 이 과정에서 벡터 안에 들어있던 항원에 대한 항체가 만들어지고, 실제 병원체가 침입했을 때 이 항체가 병원체를 무력화시킬 수 있도록 준비하게 되는 것입니다.

    간단히 말해, 벡터 백신은 우리 몸에 직접 병원체를 주입하지 않고 무해한 운반체를 이용하여 항원을 전달하고 면역력을 키우는 방식입니다.

    벡터 백신의 장점이라면 다양한 종류의 벡터를 이용하여 여러 질병에 대한 백신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살아있는 바이러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죽은 백신보다 더 강력한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으며 기존의 백신 기술과 결합하여 더욱 효과적인 백신 개발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벡터 백신에도 단점은 있습니다. 백터에 대한 면역 반응이 발생하여 백신의 효과가 감소할 수 있고, 벡터를 제작하고 백신을 생산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생산 비용이 높을 수 있습니다. 또 생백신처럼 살아있는 바이러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 벡터 백신은 바이러스의 유전자를 다른 무해한 바이러스에 삽입해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주로 아데노바이러스 같은 바이러스를 벡터로 사용해 목표 바이러스의 단백질을 몸 안에서 만들게 하고, 이를 통해 면역 체계가 실제 감염에 대비할 수 있게 합니다. 장점으로는 강한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고, 비교적 빠르게 개발이 가능하며, 한번 투여로 효과를 낼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벡터로 사용된 바이러스에 대한 기존 면역력이 있는 사람에게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드물지만 심각한 면역 반응이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벡터 백신은 여러 질병에 적용 가능성이 높아 백신 개발의 중요한 방법 중 하나로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벡터 백신은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특정 병원체의 항원을 생성하도록 설계된 바이러스를 사용합니다. 이 백신은 일반적으로 안전한 바이러스(벡터)를 사용하여 병원체의 유전자를 세포에 전달하고, 세포가 이 유전자를 기반으로 항원을 생성하게 합니다. 이 과정에서 면역 시스템이 항원을 인식하고 면역 반응을 유도하게 됩니다.

    장점:

    1. 강력한 면역 반응: 벡터 백신은 세포 면역과 체액 면역을 모두 유도할 수 있어 효과적인 면역 반응을 제공합니다.

    2. 빠른 개발: 유전자 기술을 활용하여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습니다.

    3. 안전성: 일반적으로 병원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감염 위험이 낮습니다.

    단점:

    1. 면역 반응의 감소: 벡터로 사용된 바이러스에 대한 기존 면역이 있을 경우, 백신의 효과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2. 복잡한 생산 과정: 벡터 백신의 생산 과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높을 수 있습니다.

    3. 부작용: 일부 경우, 벡터 백신이 면역 반응을 유도하면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벡터 백신은 일반적으로 무해한 바이러스를 사용하여 병원체의 유전 정보를 세포에 전달합니다. 이 벡터 바이러스는 병원체의 특정 단백질을 생성하도록 유전자를 변형하여 설계됩니다. 세포가 이 단백질을 생성하면 면역 체계가 이를 인식하고 면역 반응을 유도하게 됩니다.

    벡터 백신은 세포 면역 반응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습니다.

    벡터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안전하며, 보관이 용이합니다.

    유전자 전달이 효율적이어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일부 개인은 벡터 바이러스에 대해 이미 면역을 가지고 있을 수 있어, 백신의 효과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벡터의 개발과 생산 과정이 복잡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백신의 종류는 제조 원리에 따라 크게 네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요, 네 가지는 바로 바이러스 백신, 바이러스 벡터 백신, 핵산 백신, 단백질 기반 백신입니다. 코로나 19 백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바이러스 벡터 백신’은 인간에게 무해한 다른 바이러스에 코로나바이러스의 일부 단백질 유전자를 떼어 넣어 만든 벡터(운반체)를 이용하는 백신입니다. 영국의 아스트라제네카,  미국 존슨앤드존슨의 자회사인 얀센의 백신이 바이러스 벡터 백신에 해당했습니다. 이 백신들은 모두 아데노바이러스를 벡터로 이용하고 있는데, 아데노바이러스의 DNA에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 유전자를 끼워 넣고 아데노바이러스가 스스로 복제하는데 필요한 유전자는 삭제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집니다. 그러면 이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를 체내에 주입했을 때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유전자가 전사, 번역되어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들게 되고, 우리 몸은 코로나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에 대한 항체와 기억세포를 만들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바이러스 벡터 백신은 아무리 무해하다고는 하나 일단 살아있는 바이러스를 체내에 주입하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 몸이 아데노바이러스 자체에 대한, 즉 벡터에 대한 면역 반응을 일으켜 벡터를 제거해버릴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코로나바이러스의 항원에 대한 항체가 만들어지기도 전에 벡터가 사라져버리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