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풀리비비123
풀리비비12323.04.10

임신을 하면 왜 주변 사람도 태몽을 꾸게 되는건가요?

임신을 하게 되면 임산부 본인이나 가족, 가까운 지인들이 태몽을 꾸기도 한다고 하잖아요.

어떻게 임신을 하면 주변 사람도 태몽을 꾸는건가요?

임신과 태몽은 과학적 근거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태몽은 왜꾸나?? 꿈은 왜꾸나가 더 맞는 질문이 아닐까요..??

    꿈은 사람이 잠자는 동안에 이루어지는 무의식속의 알수없는 세계죠..??

    알수없는 세계를 어떻게 설명할수 있을까요..??

    태몽은 아무나 꾸는건 아니죠.. 임신하는 사람이나 그 주위 사람들이 많죠..?

    세계어디건 꾸는 사람은 꾸고 안꾸는 사람은 안꾸겠죠..??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임신과 태몽은 과학적으로 입증된 근거가 없는 미신의 일종 입니다. 따라서 태몽이라고 느끼는 것은 그냥 일반적인 수면에 따른 꿈으로 핵석해야 옳습니다.


  •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

    꿈해석이나 태몽에 대해서 과학적인 근거는 없습니다. 태몽으로 아이 성별이나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태몽을 꾼 사람이 바라는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특히 여성이 임신했을 때 체형의 변화나 호르몬의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그에 대한 스트레스로 꿈을 많이 꾸게 됩니다. 그리고 선장으로 인해서 꿈에서 본 장면들을 선명하게 기억하기도 하는데 이 꿈들 중에 '태몽이었구나', '태몽이었나 보다' 연결고리를 만들게 될 수 있습니다. 임신했을 때 통증에 대한 무서운 감정이나 아이에게 문제는 없을지 불안감 등으로 인해서 악몽을 많이 꾸게 된다고 합니다. 그러던 중에 좋은 내용은 기억했다가 태몽으로 쓰고 괜찮은 내용이 없으면 주변 사람들의 꿈 중 내용이 좋은 것을 태몽으로 쓸 수도 있습니다.

    태몽은 유사 과학일 뿐 과학적 근거는 없습니다. 위 내용들 또한 임산부들의 체험들을 바탕으로 추측할 뿐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떻게 보면 옛날 미신 같은 것입니다

    새로운 생명이 오는 만큼 큰 의미를 두고 꿈을 해석해서 그런 것입니다

    꿈은 우리가 매일 꾸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임신을 하는 여성의 주변 사람들이 태몽을 꾸는 현상은 "재경성" 혹은 "재경"이라고 불리며, 과학적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입니다.

    하지만 문화인류학적으로는 임신과 출산이 인간의 생식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이며, 이에 대한 신비주의적인 인식이 오랫동안 전해져왔기 때문에 재경성이 나타날 수 있다고 봅니다. 또한, 임신과 출산은 기존의 가족구조를 바꾸는 큰 사건이며, 이러한 변화가 주변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재경성이 발생할 수 있다고도 합니다.

    재경성은 문화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모든 문화권에서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일부 지역에서는 임신과 출산에 대한 인식이 다르기 때문에 재경성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태몽은 꿈 속에서 특정한 상황이나 사물이 등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꿈이 발생하는 이유는 다양하며, 주변사람이 태몽을 꾸는 이유도 다양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경험과 감정: 꿈은 개인의 경험과 감정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주변사람이 태몽을 꾸는 경우, 그들이 최근에 겪은 사건이나 감정적인 상황이 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변사람이 최근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강한 감정을 느꼈다면, 그런 감정이 꿈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무의식의 처리: 꿈은 무의식의 처리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변사람이 일상적인 문제나 고민을 무의식적으로 처리하고 있는 동안, 그것이 꿈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변사람이 업무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복잡한 결정을 내리는 과정을 꿈 속에서 경험할 수 있습니다.


    무의식적인 욕망이나 불안: 꿈은 무의식적인 욕망이나 불안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주변사람이 현재의 상황이나 미래에 대한 불안을 무의식적으로 꿈 속에서 경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변사람이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나 고민을 가지고 있다면, 그것이 꿈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신념이나 문화적인 영향: 태몽은 문화나 개인의 신념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주변사람이 특정한 문화나 신념을 가지고 있을 경우, 그것이 꿈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종교나 민간 신화에 대한 믿음이 강한 경우, 그것이 꿈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임신과 태몽사이에는 어떠한 과학적원리 및 근거가 없습니다.


    계속 태몽에 대한 상상을 하고 의식을 하고 그래서 꿈에서 나올확률이 많이 있을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과학적 근거 없습니다.

    대부분 확증편향에 의한 자기합리화에 가깝습니다.

    사람은 한번 잠에 들때 여러번 꿈을 꿉니다.

    그중 일부는 기억에 남아 그날의 대표기억이 되며

    거의 대부분의 꿈은 비현실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대부분 특이한 내용을 담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주변에 누군가 임신을 했다고 하면 그 꿈과 연결하여 태몽이라 불리오게 됩니다

    샤머니즘의 영역이지 과학의 영역이 아닙니다.